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비문학 속 미혼모와 그의 자녀들을 향한 ‘폭력’ 서사를 통해 본 병리학적 상상력

이용수 212

영문명
A Study on Pathologic Imagination found in ‘Violence’ Narratives towards Un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Oral Literature - Focusing on Jumong Myth, Jeseokbonpuri, Life Story of an Unmarried Mother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백민정(Baek Min-jeo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06輯, 123~15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구비문학에 나타난 병리학적 상상력을 알아보기 위해, 미혼모와 그의 자녀가 겪는 편견과 차별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건국신화인 <주몽신화>, 서사무가인 <제석본풀이>, 생애담인 <우리 엄마의 살아온 이야기>를 텍스트로 하여 편견과 차별이 갖는 폭력성을 찾고, 이로 인한 병리적 후유증을 문학의 내재적 관점에서 찾아보았다. 미혼모들은 남편에게 ‘납치, 감금, 성폭행, 육아 및 경제적 책임 떠안음’이라는 폭력을, 원가족으로부터 ‘퇴출’이라는 폭력을, 사회로부터 ‘조롱, 멸시’라는 폭력을 당함으로써 신체적ㆍ정신적 병리 증상을 후유증으로 갖는다. 자녀들은 사회로부터의 차별과 천대로 인한 불안증과 심리적 고통이라는 정신병리적 후유증을 갖는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폭력성과 후유증은 정상 사회를 전제함과 아울러 정상에서 어긋난 것을 비정상으로 진단하고, 비정상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회적 병리성을 문학 외재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다양한 가족과 혼외 출산을 인정하는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만을 정상 가족으로 규정하는 정상 가족 담론은 아주 오랫동안 뿌리박혀 있었다. 미혼모와 그의 자녀에 대한 폭력 서사는 미혼모 가정을 주변화시켜 비정상으로 치부하는 정상 가족 담론과 가족주의가 건국신화의 시대부터 지금까지 사회병리학적 상상력으로 작용하여 왔음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ing on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un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vestigated the pathologic imagination found in the oral literature, The texts of Jumong Myth, Jeseokbonpuri, and Life Story of an Unmarried Mother were searched to find various violences involved in prejudice and differentiation and the pathologic sequelae due to them were identified from the literary intrinsic perspective. The unmarried mothers had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thologic symptoms as the sequelae caused by violences such as kidnap, captivity, sexual assault, parenting,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imposed by their husbands; expulsion by their original family; mockery and disregard in society. It was also found that their children had psychopathological sequelae of anxiety and psychological pains due to differentiation and negligence in society. It was investigated, from the literary intrinsic perspective, that these violences and sequelae come from a social pathology where a normal society is defined and those deviated from normal were defined as abnormality, thus prejudice and differentiation towards such abnormality are justified. Unlike foreign countries where various forms of family and unmarried childbirths are accepted, Korea has long and rigid tradition of normal family narratives that defines normal family just as those composed of couple and child. The violence narratives towards un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are considered to reflect the normal family narratives and familialism that dismiss family of unmarried mother by marginalizing them have acted as a sociopathological imagination from era of nation-building myth to now.

목차

1. 서론
2. 구비문학 속 미혼모와 그의 자녀들을 향한 ‘폭력’의 서사
3. ‘폭력’ 서사를 통해 본 병리학적 상상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민정(Baek Min-jeong). (2020).구비문학 속 미혼모와 그의 자녀들을 향한 ‘폭력’ 서사를 통해 본 병리학적 상상력. 어문연구, 106 (1), 123-157

MLA

백민정(Baek Min-jeong). "구비문학 속 미혼모와 그의 자녀들을 향한 ‘폭력’ 서사를 통해 본 병리학적 상상력." 어문연구, 106.1(2020): 123-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