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시 도시공원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조경 디자인 고찰

이용수 532

영문명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Using Network Analysis of Urban Parks in Seoul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이윤서(Lee, Yoon Seo)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6, No. 1(통권 18권), 173~18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사회에서 도시 내 휴양 시설들이 증가하며, 도시공원의 분류 역시 다양해졌다. 도시공원과 녹지는 삶의 질과 직접 관련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도시공원의 조경 디자인을 위해서는 기술적 변화와 행태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공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공원에 조성된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성이 높거나 실제 식재 범위에서 중심이 되는 구성을 추출, 분석하여 조경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 서울시 내 5개 자치구의 도시공원 총 2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각 공원과 공원 간의 식물 간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도시공원 간 식물 유사 연결성을 파악하고, 상위그룹의 3순위에 속하는 식물을 도출하여 식재 특징과 디자인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느티나무로 교목류로 나타났고, 바위치가 그 다음 순이었다. 이러한 특성은 어린이 공원의 식재된 식물 10종 이상이 서울시내 도시공원 중 근린공원과 소공원, 다음 공공공지 와 문화공원의 순으로 연결성을 위한 비슷한 패턴의 식재 형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부의 상록교목과 낙엽교목의 하부식재로 다층식재를 통해 풍성한 자연 그대로의 숲 분위기의 디자인을 조성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식물 분포 현황으로 식재 빈도를 파악했던 기존 연구 방식에 연결성으로 패턴을 도출한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은 작가의 디자인 철학을 유추할 수 없는 점, 식재 당시의 의도와 달라진 도시공원을 조사하지 못한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식물의 개별 생육 특징의 연구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urban recreation facilities have increased,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s has diversified. Urban parks and green areas a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line with this demand, the landscape design of urban parks requires compositional research for overall harmony and balance combining plant features and visual characteristics to maximize in space. In other words, basic data is needed to predict changes in space by collecting objective data that can accommodate techn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Therefore, this work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plants generated in existing urban parks, extracting a highly visible or central configuration of the actual planting range. Therefore, the purpose was to analyze planting pattern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landscape design. This allows us to identify plant links that are not utilized in landscape design in differentiated ways from existing analyses that focus on the individual properties of plants.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of 22 urban parks in fiv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target sites, analyzing the centrality of connecting parks and parks. According to this analysis, plant-based connections between urban parks were confirmed, and plants ranked third in the upper group were derived to identify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ness of design. The most connected plant was the zelkova tree, followed by the Creeping saxifrage.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a fault structure in which bridal and shrub trees are planted planarly in different locations, and it has been identified as a highly related species in which flowering shrub forests continue to drif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artist s design philosophy cannot be inferred and that the city park, which changed its intention at the time of planting, could not be investigated.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complement this point and add research on individual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증 분석
4. 결론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서(Lee, Yoon Seo). (2021).서울시 도시공원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조경 디자인 고찰. 한국디자인리서치, 6 (1), 173-185

MLA

이윤서(Lee, Yoon Seo). "서울시 도시공원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조경 디자인 고찰." 한국디자인리서치, 6.1(2021): 17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