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7

영문명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ies Using Online Classes and Online Feedback in the Covid-19 Era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난(Lee, Na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1호, 259~27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각급 교육기관이 온라인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대학 교양강좌를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J대학교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2개 단원의 온라인 강의, 온라인 중간 및 기말보고서, 그리고 온라인 수시 및 기말 테스트를 15주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온라인 피드백 28회 제공하여 강의를 운영하였다. 인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아이컨텍과 다양한 제스쳐 및 직접 언어적 상호작용을 활용할 수 있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과제와 활동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을 대신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학습자의 수동성을 보완하여 좀 더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교육이 재난과 재해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는 것과 4차 사회의 각종 다양한 기술들이 교육과 융합되면서 대학교육이 온라인 수업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여 학습자의 성장과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의 준비와 진행을 위한 전문적 교수자의 컨텐츠 제작 관련 기술적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둘째, 대학교육의 전공 및 교양 교과영역에서 지식과 이해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저차원적 사고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가 될 수 있지만 교과 내용에서 적용과 분석, 종합 및 평가 등의 고차원적 사고 방식의 향상과 역량중심 교육을 구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셋째, 대학 교양강좌가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융합되어 운영된다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대학강의가 운영된다는 것은 대학교수가 teaching의 역할과 tutoring의 역할까지 겸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특정 교과목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효과검증을 위해서 동일 교과목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접근 중에서 교양강좌에 적합한 온라인 수업 형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university educational institutions started online classes in earnest. Therefore, this study also used online classes and online feedback from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and examined some of their effects. Regarding the subject of J University [Human and Community], 12 units of online lectures, online interim reports and final reports, and online final tests were conducted by 145 college students for 15 week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se online classes, the lecture was operated by providing 28 online information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nline these classes, it is not possible to make various gestures and verbal interactions using body language and through making eye-contact. Thus, immediate feedback regarding tasks and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In online classes, online feedback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to induc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ersonality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whole personality(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sub-areas of 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Of course, sinc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online classes for specific subjects at J University,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prepare for cases in which offline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disasters and problems within the university itself, and to ensure that online classes are properly operated through the fusion of various technologies of the fourth society within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tent and improve the technical abilities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online classes. Second, although in university education, low-dimensional thinking such 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y be impacted through online classes, but there may be limitations in improving high-dimensional thinking methods such as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rd, since university liberal arts lectures are operated by combining offline and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acknowledging various forms of online education and their multiple forms. Lastly, the fact that university lectures are operated through online classes means that university professors must play both the role of teacher and the role of tutor.

목차

1. 서론
2.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이해
3.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교양교과목 운영 절차
4.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교양교과목 운영의 평가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난(Lee, Nan). (2021).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 (1), 259-272

MLA

이난(Lee, Nan).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2021): 259-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