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韓⋅蒙목련 고사의 그림서사 비교 연구 — <大目乾連冥間救母變文> 그림두루마리 재구성

이용수 133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Mulian Story Picture Narratives in China, Korea and Mongolia: Reconstruction of the Picture Scroll of Da mu qian lian mingjian jiumu bianwen (大目乾連冥間救母變文)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鄭廣薰(Jung, Kwang-Hun)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62집,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련 고사는 한⋅중⋅일 동아시아뿐 아니라 몽골, 티베트 등 불교 문화의 성격이 농후한 유목민족 사이에서도 각 지역의 특징에 어울리며 유행하였다. 악업으로 인해 지옥에 빠진 모친을 구하려고 지옥을 순례하는 목련의 모습은 동아시아적 효의 관념에 부합 하고인과응보의 불교적 교리를 설파하기에도 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 지역에서 유행한 목련 고사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바로 ‘그림’이다. 특히 지옥의 다양한 장면과 그곳을 순례하는 목련, 고통받는 모친의 모습은 그 자체로 매우 생생하고 드라마틱하여 그림으로 표현하기에 좋은소재였다. 그래서 목련 고사는 자연스레 그림이 들어간삽화본혹은문자와그림이하나의 세트가 되어 유통되곤 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림 서사로서의 목련 고사에 착안하여 중국, 한국, 몽골에서 유행한 목련 고사 자료를 비교하고자 한다. 세 가지 자료는 각각 돈황본 <目連救母變文>, 조선 중기간행본<佛說大目連經>, 그리고 19세기 몽골의 목련 고사 그림책이다. 이중 둔황 자료만 그림이 남아있지 않고, 다른 두 자로는 원본 그대로의 그림이 전하고 있다. <목련구모변문> 은 비록 그림은 전하지 않지만, 당시에는 그림을 동반한 공연형식으로 유행했음이 분명하다. 동일한 형식의<降魔變文> 그림 두루마리, 그리고<목련구모변문>에 남아있는 그림의 흔적이 이를 증명해준다. 다시 말해 중국, 한국, 몽골의 세자로 모두 그림이 필수요소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설대목련경>과 몽골의 목련 고사 그림책을 먼저 분석하고, 다시 이들<목련구모변문>의 텍스트 부분과 함께 고찰하여 최종적으로는 지금은 전하지않는<목련구모변문>의 그림 두루마리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Mulian story was popular not only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but also among the nomadic peoples of Mongolia and Tibet whose cultures were richly influenced by Buddhism. The story of Mulian, which depicts his journey to hell to save his mother who has been cast there through evil deeds, reflects the East Asian notion of filial piety, and is suitable for teaching the Buddhist doctrine of cause and effec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ulian story that was a prevalent feature in these regions is the use of images with the text. In particular, the vivid and dramatic portrayal of the various scenes of hell, Mulian’s journey within hell, and his mother’s suffering were well-suited for representation in picture form. Thus, it was natural for the Mulian story to be distributed as a set, consisting of illustrations and text. This paper, focusing on the Mulian story as a form of visual storytelling, compares the popular Mulian story as it appears in China, Korea, and Mongolia. The three sources compared are Dunhuang manuscript Mulian jiumu bianwen 目連救母變文, the Mulian Sutra Bulseol dae Mokryeon gyeong 佛說大目連經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a 19th-century Mongolian Mulian picture book, re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the Dunhuang manuscript, the source materials still contain their original illustrations. Although it no longer has its original illustrations, it is clear that it was very popular forMulian jiumu bianwen to be performed by actors using the picture scroll. The same picture scroll form is seen in Xiangmo bianwen 降魔變文and, together with the evidence of the use of pictures in Mulian jiumu bianwen, directly prove this hypothesis. In other words, pictures are essential elements of all three source materials from China, Korea, and Mongolia.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Mulian Sutra and Mongolian Mulian picture book, and then reconstruct the picture scroll of Mulian jiumu bianwen, of which the original no longer exists.

목차

1. 들어가며: 敦煌文學과 敦煌變文
2. 그림 이야기서술의 전형, <目連救母變文>
3. 한국과 몽골의 목련 그림서사
3.1. 조선 중기 <目連經>의 그림서사
3.2. 19세기 몽골의 목련 고사 그림책
4. <目連救母變文>의 그림서사와 그림두루마리 재구성
4.1. <目連救母變文>의 그림서사 공연
4.2. <目連救母變文> 그림두루마리 재구성
5. 나오며: 문화적 경계를 초월한 종교 그림서사 연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廣薰(Jung, Kwang-Hun). (2020).中⋅韓⋅蒙목련 고사의 그림서사 비교 연구 — <大目乾連冥間救母變文> 그림두루마리 재구성. 중국소설논총, 62 , 1-35

MLA

鄭廣薰(Jung, Kwang-Hun). "中⋅韓⋅蒙목련 고사의 그림서사 비교 연구 — <大目乾連冥間救母變文> 그림두루마리 재구성." 중국소설논총, 62.(2020):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