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낭송조 음악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이용수 40

영문명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Recitation Music Research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예진(Kim, Ye J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2집, 145~1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 성악 중 ‘낭송조’로 연행되는 음악은 독서성, 시창, 송서, 규방가사, 서사무가, 염불, 독경, 연도, 육아음악 등으로 매우 다양한 장르에 분포되어 전하고 있다. 그만큼 낭송조 음악은 전통사회의 가정, 종교 현장, 길거리 등 각계각층에서 연행되고 향유되던 음악이자 문화였다. 낭송조 음악은 음악학계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음악적 측면에서 분석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 낭송조 음악의 범위ㆍ개념, 연주형태에서 드러나는 가창방식ㆍ음악적 용어 등에 대한 정의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각 장르에서 연구자들이 분석을 통해 밝힌 ‘낭송조’로 연행되는 음악의 공통된 음악양식과 특성을 모아 낭송조 음악의 성격을 추정할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낭송조 음악 관련 선행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낭송조 음악 연구의 문제점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낭송조 음악의 ‘가창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에 관한 문제점이 있었다. 낭송조 음악의 가창방식에서 연구자마다 통일되지 않은 가창방식 용어를 사용하거나, ‘낭송조’로 포괄하여 지칭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각 장르의 악곡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주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세분화된 음악적 구분에서 추출된 음악특성을 기반으로 각 악곡의 가창방식에 적합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를 통해 그 장르와 악곡의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낭송조 음악의 통시적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음악학 쪽에서는 각 장르의 악곡에 국한하여 연구가 되는 경향이 있는데, 낭송조 음악의 변천과정에 주목한 음악분석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낭송조 음악의 연원을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한문의 성독이 가사(歌辭), 독서성, 소설낭독, 송서 등으로 변화하였음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는 바, 시대적 상황, 연행주체 등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음악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보았다. 본고에서는 낭송조 음악과 관련한 연구를 검토, 현황을 파악하여 그를 발판으로 문제점과 한계점을 도출하여 살펴보았다.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낭송조 음악의 연주형태와 음악적 특성을 이해하게 된 성과가 있으나, 각 장르에 한정해서 살펴보는 경향으로 낭송조 음악의 본질적인 음악양식을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낭송조 음악에 관한 시야를 넓혀 그 범주를 확대하고, 거시적으로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확대ㆍ재생산되며 변화된 음악의 역사를 되새겨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Within Korea traditional vocal music, that which is recognized as ‘recitation’ has been dispersed into and passed down through diverse genres such as dokseoseong, sichang, songseo, gyubanggasa, shamanistic epics, Buddhist chanting, dokkyeong, yeondo, and parenting music. Recitation is a form of music and culture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enjoyed at all levels of traditional society such as in homes, at religious sites, and on the streets. Analysis of recitation music has been conducted from musical aspects in the world of musical science since the mid-1990s, but definitions have not yet clearly been made of the scope and concepts of recitation music or of its performance methods or musical terms. Common music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recitation’ in each genre and that have been revealed by researchers in their analys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itatio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e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citation music and to discuss problems related to recitation music studies. First, there were problems with terms that describe the singing methods of recitation music. Researchers each used their own terms to describe the singing methods of recitation music or they comprehensively made references using the term “recitation and this has caused confusion in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pieces of each genre. Therefore,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use term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inging methods of each musical piece based on musical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subdivided musical classifications. Through this, genre and musical piece characteristics may be understood better. Second, diachronic research of recitation music should be conducted. Research in musicology tends to be conducted in a way that is limited to the musical pieces of each genre and musical analysis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transition processes of recitation music seems to be needed. While the detailed origins of recitation music are unknown, it can sufficiently be assumed that the recitation of Chinese scriptures varied to become gasa, dokseoseong, novel readings, and songseo, so it is necessary to diachronically observe musical changes that occur flexibly due to situations of the times and performance subjects. This article examined studies related to recitation music and based on this, looked into current conditions to deduce and observe problems and limitations. While comprehension of the performance form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recitation music was ga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it tended to be limited to each genre. It would be significant to broaden outlooks on recitation music to reflect on the history of recitation music that has macroscopically been expanded and reproduced with a focus on text and thus changed.

목차

Ⅰ. 머리말
Ⅱ. 낭송조 음악 연구의 현황
Ⅲ. 낭송조 음악 연구의 문제점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진(Kim, Ye Jin). (2020).낭송조 음악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국악원논문집, 42 , 145-166

MLA

김예진(Kim, Ye Jin). "낭송조 음악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국악원논문집, 42.(2020): 145-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