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속악원보』 권4 소재 낙양춘 연구

이용수 113

영문명
Study of Nangyangchun of 『Sogagwonbo』 Volume 4 - Focus on the Jangdan (Rhythmic Patterns) and Tonal Group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오비로(Oh, Beero)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2집, 191~21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현행 낙양춘과 『속악원보』권4 소재의 낙양춘이 다른 음악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속악원보』권4 소재 낙양춘을 장단과 선율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장단에서는 4행마다 규칙적으로 박(拍)이 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최소단위로 삼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구에서 제시, 5·9구에서 재현된 2가지 기본 리듬형태와 여기서 변주된 2가지 총 4가지의 리듬형태에서 동일한 장고점 혹은 비슷한 장고점이 4행이라는 특정 주기 동안 반복 및 변주되고 있었다. 즉 낙양춘에 장단이 있었다. 그래서 정간보 4행이 1장단을 이루고, 2장단이 가사 1구를 이루었다. 박이 오는 각 장단의 맨 마지막 행은 ‘편편’과 ‘쌍쌍’으로 서로 짝을 이루고 있었으며 미후사의 첫 구인 환두의 첫 장단은 미전사의 첫 장단에서 변주된 형태였다. 그리고 이 장단들이 음악이 전개 되어야 할 때에는 매우 변화무쌍하여 변주된 장단이라는 것을 알아보기 힘들었다가도 음악을 구성하는 각 단락에서는 반복되어 통일감을 이루고 있었다. 즉 변주와 반복이라는 요소가 개별적인 장단과 음악 전체의 구조 둘 모두에서 정교하게 짜여 음악을 형성하고 있었다. 선율에서는 2장단으로 이루어진 가사1구를 한 단락으로 보고 단락 및 장단별로 나누어 분석하되 음군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첫 구는 음악을 펼치는 음군, 둘째 구는 서로 변주관계인 음군, 셋째 구는 가장 복잡하여 절정을 이루는 음군, 넷째 구는 긴장을 놓지 않지만 명확히 종지하는 음군이었다. 미후사의 첫 구이기도 한 다섯째 구는 미전사의 첫 구와 비교했을 때 첫 장단은 구성음이 정확히 같지만 음군으로는 전혀 다른 음군, 둘째 장단은 미전사에서 변주된 음군이었다. 그리고 南은 각각의 음군에서도 사용되지만 전체적인 음악을 봤을 때 선율을 펼치는 다리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본고에서는 『속악원보』권4 소재의 낙양춘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미전사와 미후사, 환두와 환입이 음악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음악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이 낙양춘이 현행 낙양춘과 분명히 구분되는 음악이라는 점도 알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current Nangyangchun (a type of Korean court music) and the Nangyangchun of Sogagwonbo (original court music scores, 俗樂源譜, 1892) Volume 4 are different pieces of music and analyzes the two according to their jangdan (rhythmic pattern) and melody. As for jangdan, considering how the beat occurs regularly every four lines, the beat was considered to be the minimum unit of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same or very similar drum beat marks were being repeated or varied with the same interval of four lines in the two basic rhythmic forms, suggested in the first phrase and reappearing in the fifth and ninth segments. More precisely, there was a specific jangdan used in Nangyangchun. Line 4 of the Jeongganbo (square-shaped score), which formed one jangdan, whereas another jangdan formed the first segment. The last line of the jangdan with the beat had parallels as pyeon-pyeon or ssang-ssang (names of drum beat marks). The first jangdan of Hwandu一the first segment of Mihusa (second verse of Nangyangchun)一was a variation of the first jangdan of Mijeonsa (first verse). Since these jangdan tend to exhibit extreme variations with the progression of music, it is hard to recognize that they are variated jangdan, but they are repeated in each phrase to give a holistic feel throughout the music. In other words, elements of variation and repetition are intricately knit together within the jangdan and the musical structure to form the music. In terms of melody, one segment of the song (composed of two jangdan) was considered to be a phrase, and while analysis was conducted by phrase and jangdan, the concept of tonal group was used. The first segment was the tonal group that unfolds the music; the second segment was the variational tonal group; the third segment was the tonal group that was the most complex, coming to a climax; the fourth segment was a tonal group that maintains the tension but comes to a clear end. As for the fifth segment, which also happens to be the first segment of Mihusa, it has exactly the same tones in the first jangdan as in the first segment of Mijeonsa, yet has a completely different tonal group. The second jangdan has a tonal group variated in Mijeonsa. Also, while nam (南, a Korean musical scale) is used as a subordinate tone in each of the tonal groups, it played a distinguished role as a bridge, progressing the melody in the overall music. In this paper, Nangyangchun of SogagwonboVolume 4 was musically analyzed for the first tim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Mijeonsa and Mihusa, Hwandu and Hwanip (repeated segments from Mijeonsa) were found to be clearly different pieces of music. Also,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this piece of Nangyangchun and the current one have a clear distin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장단
Ⅲ. 음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비로(Oh, Beero). (2020).『속악원보』 권4 소재 낙양춘 연구. 국악원논문집, 42 , 191-212

MLA

오비로(Oh, Beero). "『속악원보』 권4 소재 낙양춘 연구." 국악원논문집, 42.(2020): 191-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