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관현맹인의 존재 양상

이용수 90

영문명
Joseon-era Male Blind Musician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종수(Kim, Jong Su)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2집, 167~1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관현맹인 제도는 세종 초에 여기(女妓)가 악기 연주를 충분히 익힐 때까지 임시조치로 만들어졌으므로, 1447년(세종 29)에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악이 내연(內宴)의 음악을 전담하는 것은 오래 못가고, 세조대(1455~1468)에 악공이 보충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는 세종대에 남녀유별을 하여 ‘내연에서는 여악이 악가무(樂歌舞)를 전담하되, 여악의 악기 연주가 부족할 경우 앞이 보이지 않는 장님 악공을 쓰게 한 제도’에 역행(逆行)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470년(성종 1) 12월에 성종이 ‘내연에서 악공을 제거하고 장님 악공으로 하여금 음악을 연주하게 하라’고 명했으며, 이후 영조대(1724~1776)까지 내연에서는 으레 여악과 함께 관현맹인이 음악을 연주하였다. 조선 초에 관현맹인을 처음 설치할 때는 임시 조치였지만, 현실적으로 여악이 내연의 음악을 전담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므로, 내연에서 관현맹인의 역할은 거의 필수적이었다. 관현맹인이 임진왜란 중에 혁파되었다가 광해군 초에 대비전 연향을 준비하면서 복구되고, 병자호란 중에 또 혁파되었다가 1651년(효종 2)에 내연을 대비하여 복구된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더구나 인조반정(1623년) 이전에는 서울에 상주하며 활동하는 장악원 소속 여기(女妓)가 관현맹인과 함께 연주했지만, 반정 이후에는 장악원 여기를 폐지했으므로 내연을 베풀 즈음에 외방(外方)에서 뽑아 올린 여기가 관현맹인과 함께 연주하였다. 따라서 조선 후기 내연에서는 풍물차비로 관현맹인의 수가 여악의 수보다 많았다. 실례로 1744년(영조 20) 내연에서 6명의 여악과 13명의 관현맹인이 악기를 연주하였다. 1624년(인조 2), 1630년(인조 8), 1657년(효종 8), 1744년(영조 20) 내연 및 1784년(정조 8) 내정전 하례 때 13명의 관현맹인이 연주하였으므로, 관현맹인의 정원이 조선후기는 대략 13명가량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1795년(정조 19) 윤2월 화성에서 베푼 내연에서 휘장으로 시야를 차단하는 보완책을 마련한 다음 악공이 연주하는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고, 이후 내연에서 지속적으로 악공이 연주를 담당했으므로, 더이상 내연에서 여악과 관현맹인이 풍물차비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관현맹인은 내연 외에 내정전(內正殿)에서 올리는 하례(賀禮) 및 중궁이 주관하는 친잠(親蠶) 등에서도 활동하였다. 장악원 여기가 존재한 조선전기에는 내정전에서의 하례와 친잠에 으레 여악과 함께 관현맹인이 음악을 연주했다. 그러나 서울에 상주하며 활동하는 여악이 없었던 조선후기에는 내연과 달리 하례와 친잠 때 외방여기를 불러올리지 않았으므로, 인조반정 이후 영조대까지 내정전에서의 하례 및 1767년(영조 43) 친잠이 여악과 관현맹인의 연주 없이 진행되었다. 1784년(정조 8) 왕대비와 혜경궁에게 존호(尊號)를 올린 후에 행한 하례 때 관현맹인이 전담하여 연주하는 변화가 일어났으나, 1795년(정조 19)과 1804년(순조 4)의 내정전 하례에서는 특교(特敎)로 음악을 정지하였고, 1827년(순조 27) 이후로는 문밖에서 악공이 연주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조선후기 내정전 하례에서의 관현맹인 활동은 1784년(정조 8) 일회성으로 그쳤다. 아울러 1784년 왕대비와 혜경궁 존숭의례에서는 여령(女伶)이 악장을 부르고 관현맹인이 음악을 연주하였는데, 내정전에서의 존숭의례 또한 1827년(순조 27)부터는 문밖에서 악공이 연주하게 되어, 순조대(1800~1834) 이후로는 자연히 관현맹인의 활동이 축소되었다. 관현맹인의 활동 영역이 대부분 여악과 일치하지만, 장악원에서 일식(日食)을 구제하는 의식에서 북을 두드리는 것은 관현맹인만의 독자 영역이었다.

영문 초록

The Joseon-era male blind musicians (管絃盲人) system was first abolished in 1447 (29th year of King Sejong) because it was originally designed only as a temporary measure at the beginning of King Sejong’s reign until government-sponsored female entertainers (女樂) could fully master playing the instruments. However, it was not long before female entertainers were dedicated to the internal court feast (內宴) music and general male musicians (樂工) supplemented insufficient female musicians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s reign (1455~1468). This went against the “system wherein female entertainers were in charge of music and dance in the internal court feasts while male blind musicians could be used when female entertainers alone were insufficient in playing the instrument in the internal court feasts.” Thus, in December 1470 (1st year of King Seongjong), the king gave an order to “remove general male musicians from the internal court feasts and let male blind musicians play music.” Afterward, male blind musicians performed music together with female entertainers until the period of King Yeongjong (1724~1776). The first installation of male blind musicia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 temporary measure, but in reality the female entertainers alone could not cover all internal court feast music, so the role of male blind musicians in the internal court feasts could be considered essential. Moreover, prior to the Rebellion of King Injo in 1623 (仁祖反正), female entertainers of the Music Office (掌樂院) residing and active in Seoul performed with male blind musicians, but after the Rebellion, the female entertainers of the Music Office were abolished. Female entertainers, selected from local areas, performed with male blind musicians. Thus, in the late Joseon internal court feasts, the number of male blind musicians as entertainers was greater than the number of female musicians. For example, six female entertainers and 13 male blind musicians played the instruments at the internal court feasts in 1744 (20th year of King Yeongjo).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male blind musicians was approximately 13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However, at an internal court feast, held in Hwaseong (華城), in February 1795 (19th year of King Jeongjo), a supplementary measure was taken to block the view of male musicians with tents (揮帳), marking a drastic change. Afterward, male musicians undertook the role of performing and as a result female entertainers and male blind musicians no longer served as musicians at the internal court feasts. In addition to internal court feasts, male blind musicians were also active in celebrations in the Inner Royal Court (內正殿 賀禮) and at sericulture events (親蠶) organized by the Queen. In the first half of Joseon, when the female entertainers of the Music Office existed, male blind musicians along with female entertainers performed music at celebrations and sericulture events held in the Inner Royal Court.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re were no female entertainers residing in Seoul, unlike in internal court feasts, local female entertainers were not utilized during the Inner Royal Court celebrations and sericulture events. Thus, celebrations at the Inner Royal Court and sericulture events in 1767 (43rd year of King Yeongjo) were conducted without the performance of female musicians and male blind musicians. During celebrations with the offering of honorable titles (尊崇儀禮) to the Queen Dowager and Lady Hyegyeonggung (惠慶宮) in 1784 (8th year of King Jeongjo), male blind musicians were dedicated to performing, marking a change in the performance system. Since 1827 (27th year of King Sunjo), the system was changed again so that male musicians played outside the doors of celebration places; male blind musicians activities at the Inner Royal Court celebration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ended up being stopped in 1784 (8th year of King Jeongjo).

목차

Ⅰ. 머리말
Ⅱ. 관현맹인의 역사적 변천
Ⅲ. 관현맹인의 활동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수(Kim, Jong Su). (2020).조선시대 관현맹인의 존재 양상. 국악원논문집, 42 , 167-190

MLA

김종수(Kim, Jong Su). "조선시대 관현맹인의 존재 양상." 국악원논문집, 42.(2020): 167-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