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쇼묘의 악조와 선율 분석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the Melody and Mode of Japanese Buddhist Chant: Analysis of the Tendai Syomyo(天台声明) Kujō shakujō(九條錫杖)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윤소희(Yoon Sohee)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2집, 239~26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 황실 직계 사찰인 산젠인(三千院)은 천태종 총본산 엔라쿠지(延曆寺)의 초암이자 일본 쇼묘의 태동지인 교잔오하라(魚山大原)의 중심 사찰이다. 2019년 7월 15일 산젠인의 우란분시아귀회에서는 구조석장이 중심 악곡으로 연행되었다. 일본 범패는 범찬(梵讚)ㆍ한찬(漢讚)ㆍ화찬(和讚)의 세 가지가 있는데 구조석장은 한찬에 속한다. 본 악곡을 채보ㆍ분석해 보니 의례문에 표시된 출음고(出音高)의 지시대로 첫 음을 들어서 내고, 반시키조(般涉調 B음 宮)로 선율을 짓다가 제9조에 이르러 차단치음(此段徵音)으로 전환되어 효조(平調 E음)로 종지하였다. 덴다이쇼묘는 총림 강원에서 면수구결(面授口決) 사자상승(師資相承)의 엄격한 교육체계를 통해 전승되므로 8인이 동음(同音)으로 무박절의 선율을 노래하는데 한 치의 어근남이 없었다. 한국범패는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배척되어 식자(識者)에 의한 악리(樂理)가 사라지고 민속화된 것과 달리 일본의 쇼묘는 당풍 범패 악조가 가마쿠라시대에 궁중 아악과 함께 정비된 이래 지속적으로 아악과 함께 연행ㆍ정착되었다. 오늘날 덴다이쇼묘는 겐유(中山玄雄1902~1977)가 고래의 전승체계를 집성한 『어산성명전집(魚山声明全集)』ㆍ『천태상용법의집(天台常用法儀集)』ㆍ『천태법식작법집(天台法式作法集)』을 저본으로 하고 있다. 승려들의 의례문에는 악조, 음계, 시김새가 하카세(博士:旋譜)로 표시되어 있다. 산젠인의 절음(切音) 구조석장은 제7~8조를 건너뛰고 총 7조의 가사를 창송 하는데 30여분이 소요되었다. 이 시간 동안 인도(引導)스님은 기도와 수인 등 밀의(密義) 작법을 하였다. 전체 의례소요 시간 중 반 이상을 차지하는 구조석장에는 참회ㆍ발원ㆍ공양ㆍ회향 등 천태종의 교지를 충실히 담고 있어 덴다이쇼묘의 대표 악곡으로써 종교적ㆍ음악적 비중이 매우 컸다. 일본은 각 종파마다 쇼묘의 용어와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타 종단의 쇼묘를 조사해 보니, 법상종의 야쿠시지(藥師寺)는 고야산 진언종, 일연종인 신뇨지(眞如寺)는 천태종의 엔라쿠지 계열이라 하였다. 따라서 덴다이쇼묘와 신곤(眞言)쇼묘가 일본 쇼묘의 양대 산맥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덴다이쇼묘는 진감선사와 같은 시기에 당풍범패를 배워온 엔닌으로부터 시작되었으므로 한국범패와 비교될 사안이 많아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itual of Sanjenin (三千院), which took place on July 15, 2019; it investigates the system of the Hakase Neuma while analyzing the melody and mode of Syomyo (声明 Japanese Buddhist chants) Kujō shakujō. Sanzen-inis the main Temple in the Ohara area, and has been known as Gyozan for over a thousand years. It is the birthplace of Syomyo and was originally established as a hermitage by Saicho (767-822) when he founded the Enryakuji Temple. Syomyo consisted of three genres with lyric texts in Sanskrit, Chinese, and Japanese. Kujō shakujō is the Chinese lyric chant. The religious and musical elements are closely connected, since they intend to faithfully reproduce the teachings of the Tendai Buddhism order, such as penitence, aspiration, offering, and fennel. The song played a main role in the ritual of Ullambana Segaki (盂盆 施餓鬼会); it consists of about 20~30 minutes of the ritual’s overall length of an hour and a half. The ritual involved the lead monk, mudra, Buddha recollecting, the beating and playing of dharma instruments, and medita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the melody line and musical system were written in the Piece of Kujō shakujō with Hakase Neuma. This meant that they could be sung with the same melismatic melody, ornament grace, and other musical expressions without a beat pattern. This was a result of the consistent system of transmission and education by the Tendai Buddhism order. The theory and music structure of Tendai Syomyo was formatte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Japanese court music; the music and performance served as a framework. This is in contrast to the Korean Buddhist chant Beompae (梵唄), which depends on oral transmission. Korean Beompae was excluded from court rituals after Buddhism was suppressed by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period, meaning much musical theory as well as the pieces themselves were lost. The Japanese Buddhist chant Tendai Syomyo and Korean Buddhist chant Beompae began at the same time, during the Tang dynasty. However, the Japanese tradition continu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mission of court music, whilst in the case of Korea, Beompae continued only until the early days of Joseon period, after which time, it became secularized and part of folklore.

목차

Ⅰ. 머리말
Ⅱ. 덴다이쇼묘의 성립과 전승
Ⅲ. 일본 쇼묘의 악리적 배경
Ⅳ. 구조석장의 하카세(博士)와 선법
Ⅴ. 구조석장의 실창(實唱) 선율 분석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소희(Yoon Sohee). (2020).일본 쇼묘의 악조와 선율 분석. 국악원논문집, 42 , 239-266

MLA

윤소희(Yoon Sohee). "일본 쇼묘의 악조와 선율 분석." 국악원논문집, 42.(2020): 239-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