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교수법 개발 연구

이용수 170

영문명
Study on Development of Integrated Teaching Method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신정숙(Shin, Jung-Suk)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9호, 57~8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조선대학교 <사고와 표현2>를 수강하고 있는 미술계열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수업 모형은 도상해석학을 활용한 수업 모형과 사진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수업 모형이다. 이 두 모형은 가장 기본적인 소통수단으로 볼 수 있는 문자기호뿐만 아니라 예술작품들도 하나의 기호로서 간주하는 시각기호학 이론을 토대로 설계된 것이다. 시각기호학은 시각적 이미지를 인간 삶의 소통의 체제를 담고 있는 기호로 본다는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소통의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이러한 ‘소통의 방식’은 인간 삶의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시각기호학은 결국 인간 삶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각기호학의 근원적 특성은 각기 고유한 기호체계를 지니고 있는 문자 텍스트(신문기사, 칼럼, 문학작품)와 회화, 조각, 영화, 연극, 사진, 만화 등의 텍스트들을 ‘소통’이라는 키워드로 연결시킬 수 있는, 또는 포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수업 모형으로서 제시된 도상해석학을 활용한 수업 모형과 사진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설계되었다. 첫째, 미술계열 학생들은 다양한 시각적 기호를 통해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기 고유한 기호체계를 지닌 다양한 매체(문자 텍스트 및 예술작품들)들을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둘째, 교수자가 각 매체별 기호체계의 특성과 활용방식에 대해 강의(전달)하기보다는 수업 시간과 방과 이후에 부여되는 다양한 개별 또는 조별 과제를 학생 개개인이 ‘혼자’, 또는 ‘함께’ 생각해 보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셋째, 각기 상이한 시각적 기호로 볼 수 있는 타로카드, 신문기사, 사진 등을 사회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위한 매체로 간주하고, 학생들이 타로카드의 그림이 전달하는 내용(메시지)을 글(문자기호)로, 그리고 사진의 상징적 기호가 전달하는 내용(메시지)을 글(문자기호)로 전환시켜 보는 과정을 통해서 각 매체별 효과적인 소통방식을 실습(연습)해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이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교수법은 미술계열 학생들이 다양한 표현 매체의 소통방식을 이해하고, 실제로 이를 연습해 보는 과정을 통해서 종합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방식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기의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흥미로운 텍스트의 개발과 다양한 시각적 텍스트를 활용한 통합적인 수업 모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presented an integrated class model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targeting these art students attending a class called at Chosun University. The integrated class model discussed in the thesis is considered to include this class model with iconology applied and another class model with media properties of photographs applied. After all, the model in the thesis has been designed based on a theory of visual semiotics that sees not only verbal signs, the most fundamental way to a communication, but also art pieces as some individual signs. The idea of how visual semiotics understands visual images as signs that deal with the communication systems in human life basically makes the study itself as this study to investigate ‘ways of communications’, and in the light of how those ‘ways of communications’ reflect aspects of human life as they are, visual semiotics, after all, is considered a study to explore the essence of human life. Such primitive properties of visual semiotics could be applied as a core theoretical basis that would either connect these written texts that include every single original sign system (news articles, columns, literature) to other text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films, theaters, photographs, cartoons and others or simply cover all those different texts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one key word, ‘communication’. Based on what has been mentioned above, as for the integrated class model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the study focused on following details and designed the model with iconology and the media properties of the photographs applied. First, the art students understood the greatest value of thi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visual signs, and as being well aware of such fact, the thesis applied all these different media (written texts and art pieces) that possessed their own original sign systems as the texts in the class. Second, the model was designed rather to lead individual students to naturally learn or acquire knowledge as they consider ‘alone’ or ‘with others’ or have discussions together through various individual or group tasks given after the class or after school than to let an instructor deliver a lecture all alone in relation to the properties of the sign systems of all the media or how to use the systems. Third, the thesis first understood taro cards, news articles, photographs and others which could be considered separate visual signs as media for ‘communications’ among social members, and based on its understanding, the thesis designed the class model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practice efficient ways of communications through all those media as they tried to convert what these images on the taro cards would try to say (messages of the cards) into words (the verbal signs) and, again, what symbolic signs of the photographs would try to say (message of the photographs) into other words (the verbal sings). As described so far, the teaching method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in this thesis is perceived as a class model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in general as the teaching method gives the art students chances to understand the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media and to practice the communication methods in real-life situations. However,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any educational effects will not be achieved unless both texts interesting enough to promote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class and other integrated class models with various visual texts applied are developed in advance.

목차

1. 서론
2. 통합적 교육방식의 이론적 배경
3.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교수법의 수업 모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정숙(Shin, Jung-Suk). (2014).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교수법 개발 연구. 리터러시 연구, (9), 57-87

MLA

신정숙(Shin, Jung-Suk).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교수법 개발 연구." 리터러시 연구, .9(2014): 5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