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시원칙과 신탁법 개정안

이용수 265

영문명
The Notice Principle and the New Trust Code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이연갑(Lee, Yeonkab)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31권 제2호, 89~11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행 신탁법은 제3조에서 일정한 재산권에 관하여 공시를 하여야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제3자에 대한 대항이 문제되는 국면은 수탁자 명의의 재산에 대하여 수탁자의 일반채권자가 강제집행하는 경우와, 수탁자가 신탁재산을 신탁의 본지에 반하여 처분한 경우이다. 신탁법 제21조와 제52조가 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신탁법 제3조, 제21조, 제52조와 관련해서는 해석상 여러 가지 문제가 있고, 이에 관한 입법론도 주장되어 왔다. 신탁법 개정안은 이러한 입법론을 수용하여 종래 문제된 해석상의 쟁점에 관하여 입법적 해결을 도모하고 있다. 신탁법 개정안은 신탁재산을 공시하여야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는 현행 신탁법 제3조의 원칙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현행법이 정한 공시방법을 폐지하고, 그보다 간이한 방법으로도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게 하였다. 등기 또는 등록할 수 없는 재산권에 관하여는 분별관리 등 신탁재산임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도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행법에 비하여 확실성이 떨어지는 방법을 공시방법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신탁법 제52조는 수탁자의 양수인에 대한 대항요건을 양수인의 악의 또는 중과실로 통일하면서, 공시원칙과의 관계를 단절하였다. 이로써 개정안에서도 신탁재산임을 공시할 의미는 있지만, 신탁의 목적 등 신탁조항을 공시할 의미는 없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공시원칙의 퇴조는 민사법상의 원칙으로부터는 멀어지는 것이지만, 비교법적으로는 영미신탁의 모습에 접근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English trust law, the beneficiary’s right to the trust property is regarded as a kind of proprietary right. Therefore, trustee’s own creditors could not reach the trust property and the beneficiary could trace the trust property disposed of by the trustee in breach of trust except from the bona fide purchaser for value. Korean trust code tries to achieve the same result but the notice principle makes the job complicated. As Korean civil code follows the model of Germany, it has the principle that the rights in personam only affects the parties of the contract, and that when the third parties are affected, the rights should be made public so that they could be noticed by the third parties. In the spirit of keeping the notice principle, the Trust Code stipulates that the trust shall not be asserted against a third party unless the trust property was registered when the trust property should be registered(Art. 3). Trust Code also provides that the trust property shall not be levied upon unless the right against the trust property arose before the settling of the trust(Art. 21). Therefore, in Korean trust law, the beneficiary could protect the trust property from the execution of the trustee’s own creditors when the property was registered. Trust Code also has the provision of “avoidance of the beneficiary”,according to which the beneficiary could avoid the transaction of the trust property by the trustee in breach of trust, regardless of the knowledge of the third party,when the trust property was registered(Art. 52). These provisions tries to assimilate the results of the English trust law. However, they causes several interpretational problems as well. First, the Trust Code does not have provisions regarding the trust property which could not be registered. Second, the third party could not know whether the transaction is in breach of trust or not by just looking into the register. These problems leads to disput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s and several suggestions de lege ferenda. The new Trust Code tries to resolve the disputes by incorporating theses suggestions. In doing so, the drafters tries to keep a little distance from the notice principle. According to the new Code, the separation and earmarking serves as “notice” when the trust property could not be registered. Moreover, they have sever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ice principle and the avoidance power of the beneficiary, by providing that the beneficiary could avoid the transaction in breach of trust purpose only when the third party did not know or could not have known the transaction was in fact in breach of trust property. In effect, the new Trust Code moves one step closer to the model of English trust law,making the mismatch between the trust law and the civil law more noticeable.

목차

Ⅰ. 서 론
Ⅱ. 현행 신탁법상 신탁재산의 공시
Ⅲ. 신탁의 공시와 신탁재산에 대한 집행의 배제
Ⅳ. 신탁의 공시와 수익자의 취소권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갑(Lee, Yeonkab). (2011).공시원칙과 신탁법 개정안. 법학논총, 31 (2), 89-118

MLA

이연갑(Lee, Yeonkab). "공시원칙과 신탁법 개정안." 법학논총, 31.2(2011): 8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