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도출

이용수 199

영문명
Assessing Significant Area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Cadastral Data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박곤(Park, Gon) 김윤기(Kim, Yun Ki) 홍성언(Hong, Sung Eon)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6권 제1호, 93~10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정보를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개념의 그린인프라스트럭처 핵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는 ‘핵심 녹지지역’과 ‘연결지역’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토지이용현황 정보만을 이용한 구성요소 분석을 진행하여 네트워크의 정량적 분석방법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수치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사회연결망 분석 수식을 해당 연구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네트워크 결집력을 나타내는 ‘핵심 녹지지역 간 관계수치’ 수식을 도출하였다. 수식에서 산출된 결과는 연결정도 가중치 분석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핵심 녹지지역’의 중요도 분석에 활용되었다. 그 결과 서울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를 위한 상위 5개 ‘핵심 녹지지역’은 강북지역에 위치하며, 다음으로 강남지역의 5개 ‘핵심 녹지지역’이 중요지역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효율적인 ‘핵심 녹지지역’과 ‘연결지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핵심 데이터로 활용된 지적정보는 환경 분야의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제시하고, 지적정보의 중요성 및 활용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methods to extract significant areas of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using methods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cadastral data. A green infrastructure network is classified into ‘hubs’ and ‘links.’ Although many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land uses to establish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this study suggests quantitative method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formula to calculate values in the relation between hubs in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was developed and suggests importance of hubs with applying to a method of weighted degree in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five hubs in Gangbuk has the higher values of importance in comparison with hubs in Gangnam that also contains five hubs within ten hubs that have higher values in 20 hub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in Seoul. This study also suggests hubs and links based on variable scenarios to establish network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study is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geospatial data based on cadastral data.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cadastral data to analyze environmental issues with different methodologies in comparison with prior studies.

목차

1. 서 론
2. 사회연결망 분석
3. 분석방법
4. 서울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추출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곤(Park, Gon),김윤기(Kim, Yun Ki),홍성언(Hong, Sung Eon). (2020).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도출. 한국지적학회지, 36 (1), 93-103

MLA

박곤(Park, Gon),김윤기(Kim, Yun Ki),홍성언(Hong, Sung Eon).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도출." 한국지적학회지, 36.1(2020): 93-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