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서지역 출토 청동기로 본 마한의 대외교류

이용수 765

영문명
Foreign exchange to the Mahan that excavated bronze ware in the Hoseo are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장호(Jang ho Par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4집, 37~6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호서지역의 마한무덤에서 청동기는 기존의 연구성과에서 천안 청당동 5호에서 출토된 마형대구(馬形帶鉤)가 원삼국시대 청동기를 대표하는 유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 조사성과의 증가에 따라 단순히 마형대구만 출토되는 것이 아니라 호형대구(虎形帶鉤)도 출토되고 있으며, 동병철검(銅柄鐵劍)이나 검초금구(劍鞘金具) 등도 확인된다. 현재까지 조사된 청동기는 호서지역에서 생산되기도 하지만 영남지역이나 중국동북지역, 평양일대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거나 교류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수입된 유물 등이 확인된다. 이러한 청동기를 통하여 호서마한은 동물형대구나 별주식 동병철검을 통하여 동남부지역의 진·변한과 청동기 교류가 있었고 그 중 동물형 대구는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인 문화로서 만들어가는 양상이 확인된다. 진·변한과의 교류는 청동기뿐 아니라 묘제와 토기, 철기 등도 연계되어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진·변한과의 교류뿐 아니라 중국동북지역이나 평양일대와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 졌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부여계통으로 추정되는 동병철검이 청주지역에서 확인된다는 점은 호서마한의 대외관계망이 상당히 넓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상황에서 보았을때 길림지역과 직접적인 교류보다는 요령 동부지역과 서북부지역을 통한 간접적인 교류관계가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게 보인다. 이러한 점은 서산 예천동유적에서 확인되는 철장검이 세형동검문화권역에서 확인되는 검초금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북부지역과의 교류관계를 나타내는 증거로서 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출토된 청동기를 통하여 호서마한의 대외관계망이 다양한 교류관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지만, 여러 루트를 통한 교류의 가능성이 확인되었을 뿐이다. 자료 증가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In Mahan Tomb in Hoseo-gu, the Bronze Age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rtifac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by Ma Hyeong Dae-gu, which was excavated from Cheongdang-dong No. 5 in Cheonan, in its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As the results of the recent survey increase, not only mahjongdaegu is excavated, but also ho-hyeongdaegu is excavated, and Dongbyeong Iron Sword and Geomchum Gum-gu are also confirmed. The bronze ware that has been investigated so far is also produced in Hoseo area, but relics that can be found in the Gyeongsang region, the northern part of China, and the Pyongyang area or directly imported through exchange are identified. Through these bronze ware, there was an exchange between Jin and Byun and Bronze Age in the Yeongnam region through animal types or star stocks bronze swords, and among them, animal-type codfish were selected and made into an independent culture. The exchange with Jin and Byunhan was not only linked to the Bronze Age, but also to the tomb, earthenware, and ironware, which can be confirmed to have been active. It can be confirmed that not only exchanges with Jin and Byunhan, but also exchanges with China,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and Pyongyang areas have been brisk. The fact that the bronze dagger, believed to be of the Buyeo system, was identified in the Cheongju area indicates that the vast network of foreign relations was quite extensive. However,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t seems reasonable to think that there were indirect exchanges between the eastern and northwestern regions of the country, rather than direct exchanges with the Gileem region. This is because I believe that the iron swords identified in the Yecheon-dong ruins of Seosan are used as a tool for inspection, which can be found in the Sehyeong-dong Sword Cultural Area, as evidence of exchange with the northwestern region. Although the bronze ware excavated so far shows a wide variety of exchanges, the possibility of exchange through various channels has only been confirmed. I look forward to data growth.

목차

Ⅰ. 머리말
Ⅱ. 호서지역의 청동기현황
Ⅲ. 진·변한과 대외관계망 형성
Ⅳ. 부여·낙랑과의 대외관계망 형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장호(Jang ho Park). (2020).호서지역 출토 청동기로 본 마한의 대외교류. 민족문화논총, 74 , 37-67

MLA

박장호(Jang ho Park). "호서지역 출토 청동기로 본 마한의 대외교류." 민족문화논총, 74.(2020): 3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