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학동점(西學東漸)과 중국현대 학술의 생성

이용수 48

영문명
The Eastward Transmission of Western Sciences and the creation of modern Chinese studie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부영군(Fu yong-ju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4집, 167~1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학(西學)이 동쪽에 전파된 이래, 중국학술의 전통 형태는 종결되었고, 중국학술은 경학시대로부터 “후경학시대(後經學時代)”에 진입하였다. 전통적 “중국” 개념의 해체는 중국 학술이 전통으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전환 과정을 열었다. 민족국가 관념이 중화제국 관념을 대체하고, 세계 개념이 천하 개념을 대체한 이후, 다른 민족, 다른 정치문화 공동체는 순수한 공간적 의미상에서의 병존관계를 구성하였으며, “중국”의 정치 의의와 문화 의의는 대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지리적 경계 의미상에서의 공간 규정은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정치, 학술이 결합하였고, 경학을 주체로 삼는 중국 전통학술은 그 존재의 사회적, 역사적 조건을 잃어버렸다. 정교(政教) 전통의 폐지는 곧 직접적으로 경학의 중국전통 학술체계 가운데에서의 독존적 지위의 상실을 야기하였으니, 꽃은 이미 흐드러졌고 영광은 영멸하였다. 표면적으로 보면, 중국 학술의 전통으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전환은 서학동점의 결과였다.그러나 변혁의 실질적 추동 요인은 중국 전통 학술 내부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서학동점은 그저 하나의 계기에 불과했는데, “중서지별(中西之別)”이 “고금지변(古今之辨)”을 야기하였으며, 나아가 “고금지변(古今之變)”으로 파생되었다. 그 결과는 “경학(經學)”의 와해, “자학(子學)”의 돌출, 서학과의 상호 결합으로 표현되었으며, 중국의 새로운 지식계보를 구성하였다. 이로부터 볼 수 있듯, 중국의 현대학술을 토론하는 것은 서양의 관점을 벗어날 수 없으며, 서양의 영향을 해석하는 것이든, 아니면 중국 학술의 주체성으로 회귀하여 서학과 소원해지고자 것이든 막론하고, 서학동점은 결코 배척할 수 없는 “전이해(前理解)구조”이다. 오로지 이러한 관점 하에서만 비로소 같음 가운데 다름을 변별하고, 다름 속에서 같음을 볼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최종적으로는 그러한 이동(異同)을 초월하여, 보편적 학술의 근본 문제에 대한 탐구로 향하는 도경을 열 수 있을 것이며, 중국 현대학술 또한 비로소 진정으로 지역적 지식으로부터 세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Western studies was introduced to China, the traditional form of Chinese studies has declined. At the moment, Chinese studies also have entered the Post classical learning era(后经学时代) from the classical learning era(经学时代). The dis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China concept led to the transition of Chinese scholars from tradition to modern times. Since the concept of nation state replaced the concept of the Chinese Empire, and also the concept of the “world” replaced the concept of the “Tian-xia(天下)”, different peoples, different political and cultural communities have formed a coexistence relationship in pure spatial meaning. In addition, the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ingle concept of China has been greatly weakened, and the spatial regulation in the geographical sense has lost meaning. Thus, politics and academia were combined, and traditional Chinese studies, which centered on classical learning, lost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of its existence. The abolition of the tradi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caused the loss of the exclusive status of the classical learn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 academic system. On the surface, the transition from Chinese academic tradition to modernity was the result of the Eastward transmission of Western sciences(西学东渐). However, it was only one occasion, in fact, the factor of this change came from the Chinese traditional academic itself. In short, the distinction between East and West caused the debate between ancient times and the present, and furthermore, It was also derived from it. As a result, The classical learning has collapsed, and The study of One hundred schools has emerged, which is combined with Western studies, Eventually it formed a new knowledge base in China. From this, discussing China s modern studies must involve a Western perspective, whether it is interpreting Western influences or returning to the subjectivity of Chinese academia and distinguishing it from Western studies, a prior understanding structure that can never be ignored. Only under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differences in the same, identify differences in the same, and finally, beyond such sameness and differences, we can pursue a quest for the fundamental problems of universal learning, and the Modern Chinese studies can also move away from the level of local knowledge and head to the world.

목차

Ⅰ. 傳統學術與國族敘事
Ⅱ. 從中西之別到古今之變
Ⅲ. 屬於世界的中國現代學術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부영군(Fu yong-jun). (2020).서학동점(西學東漸)과 중국현대 학술의 생성. 민족문화논총, 74 , 167-182

MLA

부영군(Fu yong-jun). "서학동점(西學東漸)과 중국현대 학술의 생성." 민족문화논총, 74.(2020): 167-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