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현사판 『부모은중경언해』의 서지 및 국어학적 특징 -표기 및 음운을 중심으로-

이용수 223

영문명
A Study on Bibliographic and Korean Linguistic Features of 『Bumoeunjunggyeong-Eonhae』 Woodblocks in Bohyeon Temple -Focused on the Orthography and Phonolog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은영(Jeong, Eunyeong)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4집, 313~34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간기 미상의 서울대학교 도서관 심악문고 소장 보현사판 『부모은중경언해』를 소개하고 문헌의 간행 연대를 추정하였다. 또 초역본으로 알려진 화봉문고 소장본(1545)과 비교하여 국어학적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국어학적 특징과 가치를 확인하였다. 보현사판 『부모은중경언해』의 간행 참여 인물을 바탕으로 살펴본 결과 보현사판은 1710년대 간행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보현사판의 언해본에는 구두점이 찍혀 있었고, ‘좀심티’ 등의 오각이 다소 발견되었고, 오각을 묵서로 교정한 부분도 있었다. 화봉문고 소장본과 표기 및 음운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는데, 병서 표기에서 각자 병서 ‘ㅆ’, ‘ㅃ’이 확인되었으며, ‘ㅴ’, ‘’ 와 같은 형태도 발견되었다. 중철과 분철 표기가 나타나 근대 국어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운의 특징으로는 ‘ㆍ’의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ㅿ’은 혼란스럽게 사용되었다. ‘ㄱ’ 약화 현상이 사라졌으며, 종성 표기에서 ‘ㅅ’이 많이 사라져 있었다. 또, ‘?C(코)’, ‘??(칼)’ 등의 어휘에서 어두 유기음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을 비추어 볼 때 보현사판은 의고적 표기도 있으나, 근대 국어의 특징을 많이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troduced the book, 『Bumoeunjunggyeong-Eonhae』 woodblocks in Bohyeon temple, and estimated the age of the publication of the book. In addition, we check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Korean linguistic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Korean linguistics compared to ‘the collection of Hwabongmungo(1545)’, known as the first edition. Based on the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hyeon temple it was estimated that was published in the 1710s. ‘the collection of Hwabongmungo’ and ‘the woodblocks in Bohyeon temple’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ocusing on notation and phonology. ‘The woodblocks in Bohyeon temple’ is with punctuation marks on the board, and the names of each of the pathology letters were identified, and forms such as ㅴ and   were also found. The signage of jungcheol and buncheol was show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Some wrong letters such as 좀심티(조심티) were found, and some of them were corrected by brush. The character of phoneme was able to confirm the disappearance of ㆍ , and ᅀ was used in confusion. There was no weakening phenomenon of ᄀ and much ᄉ was missing from the signage of the species. In addition, words such as ?C(코) and ??(칼) could be foundaspiration in the beginning of word. Therefore, the 『Bumoeunjunggyeong-Eonhae』 woodblocks in Bohyeon temple has a significant meaning, and it shows that it shows many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목차

Ⅰ. 머리말
Ⅱ. 보현사판의 서지
Ⅲ. 보현사판의 표기 및 음운의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영(Jeong, Eunyeong). (2020).보현사판 『부모은중경언해』의 서지 및 국어학적 특징 -표기 및 음운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74 , 313-345

MLA

정은영(Jeong, Eunyeong). "보현사판 『부모은중경언해』의 서지 및 국어학적 특징 -표기 및 음운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74.(2020): 313-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