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이용수 152

영문명
A Study on the Existential Space in ASMR Broadcast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장세연(Seyeon Chang) 박진서(Jinseo Park) 류철균(Chulgyun Lyou)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4호, 269~28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인 미디어 방송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방송의 주요 콘텐츠가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게임 방송, 먹는 방송, 공부 방송 외에도 시각적 영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에서 벗어난 새로운 분야의 형식이 나타났다. 최근 1인 미디어 방송에서 청각적 소리를 중심으로 하는 ASMR 방송이 확산되고 있다. ASMR이란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의 약자로 자율 감각 쾌감 반응을 뜻하는 신조어이다. 이는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리적인 안정감이나 쾌감을 주는 특정 소리 혹은 현상을 지칭한다. ASMR 방송은 기본적으로 방송자와 수신자가 일대일의 사적 관계를 형성하는 서사적 배경이 설정되며 따라서 방송자는 속삭이는 소리 혹은 작은 소리 요소들을 중심으로 방송 콘텐츠를 진행한다. 본 논문은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몸 현상학적 세계 인지 과정에 빗대어 ASMR 방송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방송의 수신자에게 주어지는 실존성의 영역을 고찰하고자 한다. 시각적 영상 이미지 중심의 1인 미디어 방송 플랫폼에서 시각보다 청각을 전면화하는 ASMR 방송의 변별적인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ASMR 방송의 수신자가 구축하는 탈-영토화된 층위로서의 가상 공간을 인문학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ASMR 방송은 시각 과잉의 1인 미디어 방송에서 청각 중심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일탈적 실존 공간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시대적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Being expanded for one-person broadcasting systems, the contents of one-person broadcast are changing. The one-person broadcasts in the past consisted of visual images like gaming, eating, studying, etc. Recently, the contents using auditory sense, calld ASMR, is rising in Youtube. ASMR i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Broadcasters of ASMR contents make the YouTube film with the sounds frome tapping, scratching, whispering, muttering and it it gives receivers specific psychological meridian and stability. In the ASMR broadcast contents, a broadcaster and a receiver make one to one relationship in private circumstance like library, hair salon, bedroom, etc. Accordingly, a broadcaster could talk or interact with a receiver using quiet soun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why receivers choice the ASMR broadcast among a lot of one-person broadcasting genres. This study considers that receivers make their virtual space through the sound features in ASMR contents. This study analyzes ASMR broadcast contents in visual effects and auditory installations, and using Maurice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o investigate how receivers make their existential space through the ASMR broadcasts. Based on above analysis, this study reveals the meaning of deterritorialization of virtual auditory space of receivers and proves ASMR broadcasts could develop auditory contents in digital media as a new heterotopia.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ASMR 방송의 시각적 재현 양상
3. ASMR 방송의 청각적 재현 양상
4. 실존적 몸의 헤테로토피아 형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세연(Seyeon Chang),박진서(Jinseo Park),류철균(Chulgyun Lyou). (2016).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4), 269-287

MLA

장세연(Seyeon Chang),박진서(Jinseo Park),류철균(Chulgyun Lyou). "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4(2016): 269-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