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더블: 달콤한 악몽>을 통한 도스토예프스키의 분신 재해석

이용수 107

영문명
Re-interpretation of Dostoevsky’s The Double through theFilm The Double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종민(Jong-Min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0호, 41~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리차드 아요데 감독의 영화 <더블: 달콤한 악몽>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원작 『분신』을 모티프로 제작되었다. 주인공 사이먼이 다니는 회사는 대령의 절대적인 통제를 받는 암울한 디스토피아로 묘사된다. 사람은 그저 사람일 뿐이라는 대령의 TV 광고 속 발언은 인간의 보편성에 대한 옹호로 인식되지만 이것은 명백히 반(反)도스토예프스키적인 노선에 해당한다. 도스토예프스키가 그토록 증오했던 합리적인 ‘보편적 인간’을 『분신』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독은 비디오 게임 속 캐릭터로 대령을 등장시킨 뒤 킹콩이 대령을 조종하는 장면을 연출한다. 이 킹콩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원작에서 주인공 골랴드낀의 분신에 해당한다. 또한 감독은 한나와의 데이트 장면에서 킹콩 조각상 배치를 통해 사실상 킹콩을 재등장시킴으로써 분신의 실존을 강조한다. 존재감이 없고 소심한 사이먼은 자신의 분신인 제임스가 한나를 가로채기 전까지는 자아분열과 관련된 그 어떤 갈등도 표출하지 않는다. 아요데 감독은 갈등하지 않는 사이먼의 내면을 부각시키는 대신에 한나를 조명함으로써 원작과의 차별성을 시도한다. 한나의 이중 자화상은 의심의 여지없이 내면의 분열을 상징한다. 얼굴이 표현되지 않은 한나의 이중 자화상, 사이먼이 손수건으로 얼굴을 가리는 장면, 제임스의 데이터 관련 발언 등 수많은 장면들이 사이먼과 한나의 분신관계를 증거한다. 영화는 인간의 이율배반적인 양상이 주인공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에게도 나타난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먼은 투신 감행을 통해 분신을 제거하는 데 성공하지만 이러한 극적 반전은 원작에 반하는 자가당착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아요데 감독의 이분법적 결말은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영문 초록

The Double, a film directed by Richard Ayode, is based on the original novella The Double by Fyodor Dostoevsky. The company that the protagonist Simon works for is depicted as a gloomy dystopian world under the absolute control of the Colonel. The Colonel’s declaration that people are just people in a television commercial can be seen as advocacy for the universality of humans; however, it is clearly an anti-Dostoevskyan position. The notion of the rational “universal human”, which was detested by Dostoevsky, can be discovered throughout the novella The Double. The director goes to the extent of presenting the Colonel as a character in a video game and stages a scene where he is controlled by King Kong. Here, King Kong represents Goliadkin Jr., who is Goliadkin’s double in the novella. In addition, the director emphasizes the presence of the double, as he re-introduces King Kong by placing its statue in the scene where Simon is on a date with Hannah. Simon, who is timid and inconspicuous, does not display any emotional conflict related to a split personality until James, his double, seduces Hannah. The director Ayode attempts to differentiate the film from the novella by turning the spotlight on Hannah, instead of Simon’s non-conflictual inner world. Hannah’s dual self-portrait is clearly indicative of her inner conflict. Many scenes in the film, including Hannah’s faceless dual self-portrait, Simon’s covering of his face with a handkerchief, and James’ opinion on data all serve as evidence of the doubling relationship between Simon and Hannah; that is, of the fact that Simon is the other self of Hannah and vice versa. The film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antinomic nature of the human is not limited to the protagonist, but applies to everyone including Hannah. Although Simon succeeds in removing his double by taking his own life, this dramatic twist, which is at odds with original plot, is concluded in self-contradiction, leaving Ayode’s dichotomous ending much to be desired.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디스토피아와 킹콩
3. 한나의 자화상
4. 분열의 역설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민(Jong-Min Kim). (2017).영화 <더블: 달콤한 악몽>을 통한 도스토예프스키의 분신 재해석. 글로벌문화콘텐츠, (30), 41-62

MLA

김종민(Jong-Min Kim). "영화 <더블: 달콤한 악몽>을 통한 도스토예프스키의 분신 재해석." 글로벌문화콘텐츠, .30(2017): 4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