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한옥 운조루의 현상학적 공간특성

이용수 456

영문명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y in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Unjoru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신동희(Donghee Shin) 정낙현(Nakhyun Jung)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0호, 139~16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은 건축공간에서 지각되는 물리적 조건을 환경자극으로 인지하고 과거의 경험과 기억을 토대로 동일한 공간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공간을 지각한다. 이는 물리적 환경조건이 개인의 심리적 행태로 나타나는 관계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다섯 가지 감각을 함께 구비한 경험이나 인식을 자기의식 속에서 종합하고 통일하는 공감각적 존재이다. 우리는 살아가는 공간을 오감을 통해 경험한다. 건축공간에서 공간사용자는 단순히 공간을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개입을 통해 시각뿐 아니라 신체 각 부분들의 감각을 통해 현상학적 지각을 경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메를로 퐁티(Merleau Ponty)의 『지각의 현상학』공간이론을 활용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정위, 깊이, 운동성, 체화성을 연구의 틀로 구성 하였다. 지각현상학 공간이론에 맞추어 기존이론 및 연구 검토를 통하여 전통건축의 현상학적 공간요소 정위의 요인으로 영역성, 방향성, 구성축의 변화성으로, 깊이 요소의 요인으로 촉각자극 효과, 중첩과 액자 효과, 동일요소의 반복 효과를 운동성 요소의 요인으로는 공간의 트임, 흐름과 막힘의 움직임, 열고 닫음이며, 체화성 요소의 요인으로는 장소성, 주변환경과의 조화이다. 현상학의 정위 요소는 공간속 지각의 상대성으로 새로운 방향체험에 의하여 언제나 자기 자신에 선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공간의 본질은 공간이 언제나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현상학적 깊이요소는 주체와 사물과의 경험에 의한 세계에 대한 신체의 파악으로 밝혀져서 사물들 사이의 관계 또는 평면들 사이로서의 깊이가 아니라, 사실적 깊이에 의를 부여하는 원초적 깊이공간 특성으로 인식 된다. 현상학적 운동성의 요소는 공간적 시간적 신체의 움직임에 의하여 우리는 시선이 미치는 범위를 넘어서 배후까지도 보는 역동공간 특성으로 인식한다. 체화성의 요소는 장소의 심리적 행태와 환경지원성에 대한 의미부여로 상징성을 체험케 한다. 또한 환경조건을 북돋아 산과 물, 바람 등 자연에 의한 물리적 해석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로 장소성의 의미공간을 체험케 한다. 이를 토대로 전통한옥 구례 운조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례 운조루의 현상학적 공간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전통건축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며, 운조루를 하나의 체화된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공간특성 작용은 전통건축특성을 찾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써 거주행위와 공간 간의 관계분석 및 전통건축의 본질적 특성에 다가가는 하나의 시도로써 의미를 가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y in Unjoru. Unjoru was built in 7years starting in 1771 and it is the upper-class residence of the Chosun dynasty. We used the Merleau-Ponty’s phenomenology to framework for analysis. Merleau-Ponty’s phenomenology makes much account of physical phenomenon in spaces. Thus Merleau-Ponty’s phenomenology is useful for search the characteristics in spaces. For the purpose, first, studied orientation, depth, motility and embodied space which are main concepts fo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s in a phenomenology of perception. Second, we studied history and organization of space of Unjoru.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s and phenomenology was organized into perception, thought, and consciousness. Forth, practic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Unjoru with organized framework and analyzed which caused the phenomenological situation in Unjoru. In conclusion, the study could find the embodied meaning of Unjoru. First, Unjoru has the Phenomenological depth in arrangement of spaces and external environment. Second, overlap and frame effectiveness of spaces are used of depth elements in Unjoru. Third, Spacial composition of Unjoru is relationship with user motility. Forth, placeness of Unjoru is the main element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지각현상학
3. 전통건축의 현상학적 공간요소
4. 운조루 현황
5. 운조루 현상학적 공간특성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동희(Donghee Shin),정낙현(Nakhyun Jung). (2017).전통한옥 운조루의 현상학적 공간특성. 글로벌문화콘텐츠, (30), 139-160

MLA

신동희(Donghee Shin),정낙현(Nakhyun Jung). "전통한옥 운조루의 현상학적 공간특성." 글로벌문화콘텐츠, .30(2017): 139-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