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백산의 위치를 통한 신라의 북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A Study on Silla’s Northern Territory through the location of Mt. Taebaeksan: Focusing on the location of Mt. Taebaeksan from the Jinhan Silla period to the South and North Kingdom era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전준호(JoonHo Jeon)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9호, 61~115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신라의 오악(五岳) 중 북쪽의태백산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신라의 북계에 대한 내용이다. 현 학계에서는이 태백산을 경상도의 소백산, 내지 강원도의 태백산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신라본기(新羅本紀)」에 기록된 내용들을 살펴보면신라의 위치가 경상도 경주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데, 신라의 북계가 말갈의 땅과 맞닿아있으며 북쪽에서 여러 차례 침략을 받아왔다고 기록하였고 태백산에 올라 제사를 드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말갈의 종류에는 태백산 일대에 거주한 백산말갈도 있었다. 즉 기록들의 내용을 토대로 지리적으로 말갈과 신라는 서로 인접해 있으며, 그 태백산을 남북으로 서로 공유하고 있었다. 즉 말갈이 한반도 내에 있지 않은 한 현재 경주 중심의 신라와 그 북쪽에 있는 태백산 개념은 성립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신라의 초기 위치와 함께 말갈과 신라 사이에 있었던 그 북쪽 태백산의 위치를 통해 신라의북계를 연구하였고 여러 문헌 사료와 고지도, 유물들을 종합적으로 교차 검증하여 초기 신라의 위치와 그 북쪽의 태백산 위치를 찾게 되었다. 연구 결과초기 신라의 위치는 요령성 금주시(錦州市) 일대로 이에 대한 유적은 라마동유적지(喇麻洞古墳群)이다. 또한 북계인 태백산은 하북성 승덕시 평천현(平泉 縣)의 칠노도산(七老圖山)에 있는 백두산(白頭山)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광두산(光頭山)’이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말갈과 신라의 경계에 있는 산맥인 장령(長嶺)이 칠노도산 이며 그 일대에서 신라의 북쪽 경계가 되는니하(泥河)의 위치를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후의 남·북국시대에발해가 융성해짐에 따라 신라는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해주(海州) 암연현(巖淵縣) 동쪽과 계룡산(鷄龍山)이 신라의 서쪽 경계가 되었다. 또한 발해의멸망으로 인해 고구려, 여진, 발해인들 이 요하 서쪽 지역으로 대거 이동하여그곳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때 대릉하와 요하 사이에 있는 요령성 금주시의의무려산(醫巫閭山)을 태백산으로 다시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후에 비로소 서쪽의 계룡산, 북쪽의 태백산으로 하는 신라 오악(五嶽)의 개념이 만들어 지게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Silla's Northern Territory based on the location of Mt. Taebaeksan in the north among the five mountains of Silla recorded in the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urrently, it is claimed that this Taebaeksan is Sobaeksan in Gyeongsang-do or Taebaeksan in Gangwon do.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cords in 『Silla Bongi (新羅本紀)』 of the Samguk Sagi, you can confirm that the location of Silla is not Gyeongju in Gyeongsang-do. The northern border of Silla is adjacent to the land of Malgal, and it has been invaded from the north several times. and It is recorded that Silla climbed Mt. Taebaeksan and offered sacrifices. Also, among the types of Malgal, there was also Baeksan Malgal that lived in the Taebaeksan area.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ords, Malgal and Silla were geograph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shared Taebaeksan to the north and south. In other words, unless Malgal i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currently the concept of Silla centered in Gyeongju and Taebaeksan to the north cannot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in order to find the northern region of Silla through the initial the location of Silla and Taebaeksan Mountain to the north, which was between Malgal and Silla, various documents, old maps, and relics were comprehensively cross-checked to found the location of Taebaeksan. Based on this, north border of Silla was studied agai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ocation of the early Silla Dynasty was in the area of Jinzhou City(錦州市), Liaoning Province, and the relics related to it are the Lama-dong Historic Site(喇麻洞古墳群). In additio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t. Taebaeksan in the northern border is Guangtoushan(光頭山)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Mt. Baekdusan (白頭山) in Qilaotu Shan(七老圖山) in Pingquan(平泉縣), Chengde City, Hebei Province. Jangyeong(長嶺) which is a mountain range on the border between Malgal and Silla, is Qilaotu Shan, and this was proven through the location of Nihe(泥河) which is the northern border of Silla in that area. And as Balhae prospered during the subsequent Southern and Northern Kingdom periods, Silla moved east, and the eastern part of Amyeon-hyeon(巖 淵縣), Haeju(海州) and Mt. Gyeryongsan(雞龍山) became the western border of Silla. In addition, due to the fall of Balhae, Goguryeo, Jurchen, and Balhae people moved to the western area of the Liaohe River in large numbers and settled there. At this time, Yiwulv Mountain(醫巫閭山) in Jinzhou, Liaoning Province, located between the Dalinghe River and the Liaohe River was recognized again as Mt. Taebaeksan. Only then the concept of the five mountains of Silla which consisting of Mt. Gyeryongsan in the west and Mt. Taebaeksan in the north was created.

목차

1. 머리말
2. 기존 신라 위치와 북계에 대한 인식과 오류
3. 태백산과 말갈, 신라의 북계에 대한 사료의 분석
4. 시기 별 태백산의 위치와 신라 북계의 이동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준호(JoonHo Jeon). (2024).태백산의 위치를 통한 신라의 북계에 대한 연구. 역사와 융합, (), 61-115

MLA

전준호(JoonHo Jeon). "태백산의 위치를 통한 신라의 북계에 대한 연구." 역사와 융합, (2024): 61-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