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산문화 우하량 유적을 통해 본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神市

이용수 26

영문명
A review on Shinsi in the section about Gojoseon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een through the ruins of Niuheliang of the Hongshan culture.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정규철(Kyu-Cheol Jeong)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9호, 191~2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홍산문화는 서기전 4700~서기전 3000년경까지 요서지역에서 발달한 신석기문화로 황하문명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문명으로 한국사의 근원으로 연구되고 있다. 중국 학계에서는 우하량 유적이 조성되던 시기의 사회단계를‘이미 복잡사회를 이루어 고국古國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고 황하문명과 더불어 중국문화을 형성한 핵심문화로 여기고 있다. 홍산문화 유적이 중국 황하 중심의 전통 역사 인식과 구별되는 지리적 위치와 유물의 성격 등이 확인되었음에도 그 주인공에 대해 국내 학계 대다수는 한국사와의 관련성에 회의적이다. 홍산문화에서 새, 곰, 여신상이 동시에 드러난 우하량 유적군은 『삼국유사』「고조선조」의 환웅과 웅녀에 대한 기록을 증명해 주는 고고학 물증이다. 「고조선조」가 전하는 환웅 사화의 내용과 홍산문화 유적· 유물이 분명하게 정합하는 이상 고조선에 앞선 환웅의 신시 건국을 진지하게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Hongshan culture is a Neolithic culture which developed in the Liaoxi region (the west part of Liaoning province) from 4700 BCE to 3000 BCE. It has been studied as the source of Korean history from an early age as it is a distinct civilization, independent from the Yellow River civilization. Chinese scholars consider the social stage at the time of the Niuheliang's site to be ‘already a complex society and entering the stage of early State’ and consider it a core culture that formed the Chinese culture alongside the Yellow River Civilization. Despite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nature of the artifacts that distinguish the Hongshan culture from traditional historical perceptions centered on China's Yellow River, the majority of Korean scholars are skeptical of its relevance to Korean history. The Niuheliang's site group, where birds, bears, and goddess statues were simultaneously revealed in the Hongshan culture, is an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proves the records about Hwanung and Ungnyeo found in the section about Gojoseon (ancient Joseon) in Samguk yusa. The story of Hwanung handed down by the Gojoseon Dynasty and the ruins 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clearly fit together, we must study Hwanung's founding of Shinsi more seriously.

목차

1. 머리말
2. 홍산문화 주체세력에 대한 한국과 중국 학계의 인식
3. 홍산문화의 특징과 초기국가 성립의 문제
4. 『삼국유사』 「고조선조」로 본 홍산문화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규철(Kyu-Cheol Jeong). (2024).홍산문화 우하량 유적을 통해 본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神市. 역사와 융합, (), 191-216

MLA

정규철(Kyu-Cheol Jeong). "홍산문화 우하량 유적을 통해 본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神市." 역사와 융합, (2024): 19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