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漢)부터 당(唐)까지의 발해(渤海) 위치 재고(再考)

이용수 9

영문명
Reconsidering the location of Bohai(渤海) Sea from Han(漢) to Tang(唐) Dynastie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이기훈(Ki-Hoon Yi)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9호, 7~60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원전 109년 한(漢)이 고조선을 공격할 당시 제군(齊軍)이 배를 타고 건넜던 발해(渤海)와, 서기 612년 수(隋)가 고구려를 공격할 때 건넜던 발해(勃 澥)는 동일한 바다로서, 현재의 황해(黃海) 북쪽의 산동반도(山東半島)와 요동반도(遼東半島)로 둘러싸인 바다(현 발해)가 아닌 중국 내륙의 거대한 저수지 대(瀦水地代)로 비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발해군(勃海郡)이 하북성 중남부 중산국(中山國) 근처에 있다는『후한서(後漢書)』기록, 발해가 터졌다는(勃海 決) 『회남자(淮南子)』와『수서(隋書)』의 기록, 해(海)가 황하(河)로 기록되기도 했다는『사기집해(史記集解)』기록, 발해가 일반적인 바다(大海)와 달리 홍수(大水)로 범람했던 기사를 전하는『한서(漢書)』,『후한서(後漢書)』, 『북사(北史)』,『수서(隋書)』등 BC 1세기~ AD 7세기 기록들, 발해의 海(해) 가 물길이 끊어지기도 했던(斷水) 澥(해)라고 주석한 『사기색은(史記索隱)』 의 기록, 발해지역을 기준으로 주변이 육지였다는 사실(渤海左右郡), 고대 중원 내륙(하북성 남부 평원)에서 당(唐)시기까지도 구운소금(煮鹽)이 생산됐던점, 발해와 관련된 한(漢)부터 당(唐)까지의 역대 사서 지명들이 대부분 황하중하류(하북성 남부)를 중심으로 남북에 위치해 있었다는 사실 등을 통해 확인된다. 『사기(史記)』에 기록된 여러 바다 중 고조선을 공격한 전한(前漢) 무제(武帝) 시기에 발해(渤海)는 북해(北海)와 서로 구분되어 존재하던 바다였다. 이렇게 ‘발해가 북해가 아니라는 사실’은『사기(史記)』이외에도『후한서(後漢書)』,『진서(晉書)』,『구당서(舊唐書)』,『신당서(新唐書)』에 발해(渤 海)와 북해(北海)가 동시대에 각각 다른 바다로 등장하는 점으로 확인할 수있다. 고대 발해(渤海)가 현재의 발해가 아니라 당시의 또 다른 바다, 즉 하북성 남부 중원 내륙의 거대한 저수지대(瀦水地代)였다면, 전한(前漢) 정권이 고조선을 치기 위해 건넌 발해(渤海)와 수(隋) 정권이 고구려를 치기 위해 건너게 했던 발해(勃澥)를 현재의 발해와 동일시하는 기존 관점들은 재고되어야할 것이다.

영문 초록

Bohai(渤海) Sea, which was crossed by Han(漢) Dynasty in 109 BC when Han(漢) attacked Gojoseon(古朝鮮), and Bo'xie(勃澥) Sea which was crossed by Sui(隋) Dynasty in 612 AD when Sui(隋) attacked Goguryeo(高句麗) were the same sea, but they were not the current Bohai(渤海) Sea that is the northern sea of the current Yellow Sea(黃海). At that time, Bohai(渤海) Sea was like a huge inland lake in the lower part of the Yellow River. This fact can be confirmed by many records of Bohai flooding, Bohai's bank bursting, and Bohai's distance from Luoyang(雒陽). The fact that the ancient cities related to Bohai were located in the north and south around the Yellow River also corroborates it. Shiji(史記) records there were two seas which were close to Gojoseon(古朝鮮) during the Earlier Han(前漢) period, the Bohai Sea(渤海) and the North Sea(北 海), and they were different seas which existed at the same time. Specifically, it is proved by this study that the ancient Bohai Sea(渤海) was in the southern Hebei Province(河北省) of China, and the current Bohai Sea was called as the North Sea(北海). Therefore, the Bohai Sea(渤海, 勃澥) that Han(漢) Dynasty and Sui(隋) Dynasty had crossed to attack Gojoseon and Goguryeo can not be the current Bohai Sea(past North Sea), but the ancient Bohai Sea, which was inland in the Central Plain(中原) of China. These fact proves that the current global scholars’ assignment of the capitals of Gojoseon and Goguryeo to Pyongyang(平壤), North Korea, is most likely in error. This is because if the Bohai Sea(渤海) was inland in the Central Plain(中原) of China, it means that the Han(漢) and Sui(隋) dynasties crossed the sea that was not the sea that they had to cross to attack Pyongyang(平壤), North Korea.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apitals of Gojoseon and Goguryeo were in the northern part of present-day Hebei Province (near Beijing) of China, not i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머리말
Ⅱ. 발해와 관련된 초기 기록
Ⅲ. BC 1세기(前漢 시기) 발해 관련 기록
Ⅳ. 1세기~3세기 초(後漢, 三國 시기) 발해 관련 기록
Ⅴ. 3세기말~6세기(南北朝 시기) 발해 관련 기록
Ⅵ. 7세기~9세기(隋, 唐 시기) 발해 관련 기록
Ⅶ. 발해(渤海), 북해(北海)의 구분
Ⅷ.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훈(Ki-Hoon Yi). (2024).한(漢)부터 당(唐)까지의 발해(渤海) 위치 재고(再考). 역사와 융합, (), 7-60

MLA

이기훈(Ki-Hoon Yi). "한(漢)부터 당(唐)까지의 발해(渤海) 위치 재고(再考)." 역사와 융합, (2024): 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