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리장성의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이용수 8

영문명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and the location of NakrangKun County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이덕일(eokil Lee)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9호, 145~19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403~221) 이후 중원의 역대 왕조는 여러 목적으로 장성(長城)을 쌓았다. 그중 연·진(燕秦) 장성은 북방 기마민족의 남진을막기 위해 쌓은 것이고, 이런 성격은 한(漢) 장성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만리장성은 중원 역대 왕조가 자신들의 강역을 표시한 구조물이기도 하다. 만리장성 안쪽은 중원 왕조의 영역이고 그 바깥쪽은 북방 기마민족의 영역임을 뜻하는 국경선이기도 했다. 역사상 중국 만리장성의 가장 동쪽 끝은 명(明:1368~1644) 때 쌓은 산해관(山 海關)이었다. 그런데 지금 중국 국가박물관은 진·한(秦漢) 때 만리장성이 평양 근처까지 온 것으로 그려놓고 있다. 이는 1910년 일본인 식민사학자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가 한국사의 강역을 한반도 내로 가두려는 반도사관(半島史觀)으로 처음 고안한 제국주의 역사학의 논리였다. 이나바 이와기치는 「진 장성 동쪽 끝 및 왕험성에 관한 논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考)」에서 진(秦) 장성이 지금의 북한 황해도 수안(遂安)까지 연결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제국주의 침략이론을 1931년 중국의 왕국량(王國良)이 『중국장성연혁고(中 國長城沿革攷)』에서 받아들이면서 진장성이 평양까지 왔다고 조금 변형시켰다. 해방 후에도 한국의 강단사학계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사관을 추종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한국 강단사학계의 태두(?)라는 이병도는「낙랑군고(樂浪郡考)」에서 이나바 이와기치의 논리를 표절해서 진 장성이황해도 수안까지 내려왔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현재 일본 제국주의 침략논리인 진 장성 동쪽 끝이 한반도 북부까지 내려왔다는 주장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명(明)에서 역사상 가장 동쪽의 산해관을 쌓은 것은 만주족의 침입을 막기위한 것이었다. 만주족이 설립한 청은 더 이상 장성을 쌓지 않았다. 진(秦) 장성은 물론 중국의 어느 장성도 한반도 안까지 들어온 적이 없다. 진(秦)이 장성을 쌓은 것은 흉노(匈奴)와 고조선을 막기 위한 것이었는데, 진과 고조선의국경은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갈석산 부근이었고, 그 북쪽에 진·한(秦漢) 장성의 유적이 있다는 사료가 있다. 고대 진·한(秦漢) 장성은 이 갈석산을 넘지 못했다. 갈석산 동쪽은 고조선의 강역이었다.

영문 초록

Since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403-221), successive dynasties have built great walls for various purposes. Among them, the Yan and Qin great walls were built to block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northern equestrian people, and this characteristic continues in the Han great walls. In this respect, the Great Wall of China is also a structure through which various Chinese dynasties marked their territory. It was also a border line, meaning that the inside of the Great Wall was the territory of the Chinese dynasty, and the outside was the territory of the northern equestrian people. Historically, the easternmost end of the Great Wall of China was Shanhaiguan, built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However, the Chinese National Museum now depicts the Great Wall as having reached near Pyongyang during the Qin and Han Dynasties. This was the logic of imperialist history first devised by Japanese colonial historian Inaba Iwagichi in 1910 as a peninsular view of history that sought to confine the power of Korean history to the Korean Peninsula. Inaba Iwagichi claimed in 『Treatise on the Eastern End of the Qin Great Wall and The Capital of Wangheom of Gojoson』 that the Qin Great Wall was connected to Suan of Hwanghae Province, present-day North Korea. In 1931, China's Wang Guo Liang accepted this theory of imperialist invasion in 『A History of the Chinese Great Wall』, slightly modifying it to say that the Qin Great Wall reached Pyongyang. Even after liberation, Korea's Kangdan History academia has been criticized for following the Japanese imperialist view of the history of invasion. Lee Byeong-do, who is considered to be the leader of the Korean Kangdan History academia, plagiarized the logic of Inaba Iwagichi in “Nakranggungo (樂浪郡考)” and claimed that the Qin’s Great Wall came down to Suan, Hwanghae Province of North Korea. Therefore, the claim that the eastern end of the Qin’s Great Wall, which is the logic of Japanese imperialism's invasion, reached all the way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urrently being accepted around the world. During the Ming Dynasty, the construction of Shanhaiguan, the easternmost mountain in history, was to prevent invasion by the Manchurians. The Qing Dynasty, founded by the Manchurian people, no longer built great walls. Not only the Qin general, but no Chinese general has ever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The reason why the Qin Dynasty built the wall was to block the Huns and Gojoseon. The border between Jin and Gojoseon was near Galshi Mountain in present-day Hebei Province, and to the north of it are the remains of the Qin and Han Great Walls. There is evidence that says. The ancient Qin and Han generals could not climb this brown stone mountain. The eastern side of Galshi Mountain was the area of Gojoseon.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만리장성 동쪽 끝에 대한 세 견해
Ⅲ. 역사상 만리장성의 가장 동쪽은 하북성(河北省) 산해관(山海關)
Ⅳ. 만리장성 동쪽 끝에 대한 중국 고대 사료들
Ⅴ. 일본 제국주의 침략사관이 창작한 한반도 북부설
Ⅵ. 진의 통일강역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Ⅶ.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덕일(eokil Lee). (2024).만리장성의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역사와 융합, (), 145-190

MLA

이덕일(eokil Lee). "만리장성의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역사와 융합, (2024): 145-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