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금 시대 고려 서북계의 범위 재고찰

이용수 17

영문명
Reevaluation of the Northwestern Border of Goryeo in the Liao(遼) and Jin(金) Dynasties: Focusing on Boju(保州)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허우범(Woo-Bum Her)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9호, 117~1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금 시대 고려의 서북경계는 압록강(鴨淥江)을 국경으로 하였고, 보주(保州)는 고려의 강동 6주 중 서북쪽 끝에 위치하였다. 대일항쟁기 쓰다 소키치는 강동 6주의 범위를 현재의 압록강 안쪽의 평안북도 해안가에 비정하였고, 우리 학계는 이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고려시대의 압록강이 요하(遼河)였다는 연구에 힘입어 강동 6주도 중국 요녕성의 개원과 철령사이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고려의 서북계와 압록강은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방위를 진북(眞北)이 아닌 도북(圖北) 으로 살펴봄으로써 서북계가 아닌 서계(西界)만을 살펴본 점이다. 둘째, 지명은 이동할 수 있으며 국경인 압록강도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따라서 압록강은 어느 하나의 강을 의미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경계(境界)’를 의미하는 일반명사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압록강의 이칭이 많은 것은 하나의 강에 붙여진 이칭이 아니라 국경이 변동되어 새롭게 압록강이 된 강을 그 지역의 토착민들이 불러온 명칭이 축적된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 필자는 이러한 점에 유념하면서 고려와 요·금의 사서들을 검토하여 고려의 서북계와 압록강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려의 서북계는 중국 길림성의 길림, 장춘, 농안현 일대를 포함하며, 이곳을 흐르는 이통하가 국경으로서의 압록강임을 논증하였다. 이와 함께 강동 6주의 서북단(西北端)인 보주는 농안현 지역이 사료와 부합되는 곳임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During the Liao(遼) and Jin(金) dynasties of the Goryeo(高麗) period, Goryeo's northwestern border was defined by the Yalu River(鴨淥江), and Boju(保州) was located at the northwest end of Goryeo's six eastern provi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suda Soh Ki-chi(津田左右吉) redefined the scope of the six eastern provinces to include the coastal areas of present day Pyonganbuk-do within the current Yalu River, a view that our academic community currently follows. However, recently, based on research suggesting that the Yalu River during the Goryeo period was the Liao River, an argument has been made that the six eastern provinces of Goryeo should be viewed as lying between the opening of Kaixian and Cheollyeong in China. Nevertheless, issues remain regarding Goryeo's northwestern border and the Yalu River. Firstly, the misconception arises from examining the direction not as true north(眞北) but as mapped north(圖北), leading to an erroneous consideration of the west as northwest. Secondly, place names can change, and the same applies to the boundary river, the Yalu River. Therefore, the Yalu River should not be seen as a proper noun referring to a specific river but rather as a common noun meaning “boundary.” The fact that the Yalu River has many names suggests that these are not different names for a single river but rather names that indigenous people in the region have given to rivers that have become the new Yalu River due to changes in the border. Considering these points, the author reevaluated the records of Goryeo and the Liao(遼) and Jin(金) dynasties regarding Goryeo's northwestern border and the Yalu River. As a result, it was argued that Goryeo's northwestern border included the areas of Jilin(吉林), Jangchun(長春), and Nang'an County(農安 縣) in Jilin Province, China, and that the Yitong River(伊通河) flowing through this area should be considered the Yalu River as the border. Additionally, it was noted that Boju, located at the northwest end of the six eastern provinces, corresponds well with the Nang'an County area.

목차

1. 머리말
2. 역사지리에서의 방위와 압록
3. 요·금 시대 보주의 변천
4. 요·금 시대 압록강(鴨淥江)과 보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우범(Woo-Bum Her). (2024).요·금 시대 고려 서북계의 범위 재고찰. 역사와 융합, (), 117-144

MLA

허우범(Woo-Bum Her). "요·금 시대 고려 서북계의 범위 재고찰." 역사와 융합, (2024): 11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