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초 교양 강좌로서의 문학 수업

이용수 66

영문명
Values of literature in the curriculum of liberal arts: Self-reflection and Social awareness through esthetic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인성기(In, Seongki)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6권 제1호, 495~5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전인 교육을 지향하는 기초 교양 교과목으로서 문학 과목의 잠재적 가능성을 주로 독일 근대의 예술 담론들을 통해서 고찰한다. 계몽주의 이후 현대 사회에서 합리주의적 사고가 인간을 각자의 주관적 영역으로 고립시킴으로써 소외시켰다는 인식에서 출발하는 독일 예술론 전통은 현대사회의 소외 문제를 문학 고유의 심미적 기능을 통해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칸트에서 시작해서 니체와 하이데거 그리고 아도르노에 이르는 순수예술론 계보는 개별자와 보편자의 관계 속에서 개별자의 실존에 비중을 둠으로써 낭만주의적 경향을 보인다면, 실러와 헤겔에서 시작해서 사르트르와 루카치로 이어지는 참여예술론 계보는 개별자를 보편자 속에서 지양하려는 고전주의적 시각으로 통합적 사회 질서를 추구한다. 그 양 계보는 모두 궁극적으로는 개별자와 보편자의 조화로운 통합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견해가 수렴한다. 대학의 문학수업은 개별자와 보편자간의 그런 폭넓은 지평의 융합을 고려할 때에 대학교육의 본연의 역할과 시대적-현실적 요구에 충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그런 견지에서 마지막으로 한국의 단편소설 두 편을 예시적으로 분석한다.

영문 초록

In general, literature as art is a very dynamic and complex entity. This paper contends that literature with its inherent esthetic potential can lead the reader to self-reflection and social awareness and, therefore, it is indispensible to include literature into college liberal arts courses. German Idealists such as I. Kant, F. Schiller, J. W. Goethe, F. Nietzsche, M. Heidegger, G. Lukacs and even J.-P. Sartre, as introduced and described in this paper with their classical or romantic theories of arts, have found in literature an endless source for the enlightenment of mankinds; they pointed out the mediating capacities of literature between the historical particularity of individuals and their repeatable universality, and the harmonizing capacity of a emotional imagination and a critical thinking reason by the reader, which could be utilized for the healing of the soul of the human beings in the alienated modern society. The two Korean novels as interpreted in the paper reveal how the new generation, obsess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 of the modernity, think and act unconscious of themselves. The Reader, through the esthetic experience of a literary piece, can recognize his reality. With this potential to trigger cognition combined with aesthetic appreciation, literature could turn the stream of the cold rationalism and blind violence of modern existence right unto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the formation of a new communicative commun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인문주의 교육과 기술교육
Ⅱ. 인간의 다양한 잠재력
Ⅲ. 니체와 아도르노 그리고 하이데거의 낭만주의적 예술론
Ⅳ. 사르트르와 루카치의 고전주의적 예술론
Ⅴ. 현대문학 작품의 해석
VI. 나오는 말: 주관성과 객관성의 선순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인성기(In, Seongki). (2012).기초 교양 강좌로서의 문학 수업. 교양교육연구, 6 (1), 495-518

MLA

인성기(In, Seongki). "기초 교양 강좌로서의 문학 수업." 교양교육연구, 6.1(2012): 495-5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