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 시대와 과학기술 글쓰기의 실제

이용수 84

영문명
Big data era and Practice of Scientific writing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심영덕(Shim, young-deuk)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1호, 553~5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쓰기를 통하여 사고의 건전함을 검증받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아울러 시대적 요청이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것은 한 사회가 선진화의 대열에 들어가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작업 중의 하나이다. 본고는 우리 생활에 깊게 자리잡은 빅데이터 분석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과학기술글쓰기가 어떻게 빅데이터와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 먼저 빅데이터에 대한 통시적 상황을 살핀다. 글쓰기는 다른 과목과 달리 특정 교과 과목에서 다루어져야 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종합적인 학문도 아니다. 엄격한 잣대로 보면 개별 지식의 집합체가 아니라, 진리에 접근하는 합리적 방식을 포함하는 작업이다. 그런데 빅데이터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어 의미분류 체계의 미비로 한국어의 특성 어휘나 구문과 상관성이 높은 어휘군에 대해 명확한 그림을 그려낼 수 없다는 점이다. 과학분야의 전문적인 글쓰기는 대부분 문제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과학적으로 해결해야 할 다양한 과제가 과학글쓰기의 문제가 된 것이다. 그 문제 속에는 대체로 문제 상황에 대한 진단과 연구방향 및 목적이 담겨 있다. 과학기술글쓰기의 두드러진 표현상의 특성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언어적 서술 이외에도 도표형식을 여러 곳에 포함하고 있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사회적 이슈를 이해하고 과학기술을 사회적 필요와 연결시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은 필수적인 항목이 된다. 두 대학의 교재를 개괄적으로 분석하면서 되도록이면 실제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과학기술글쓰기는 전공하는 학과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방법을 적용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가 교재에서 소개한 장별의 이론을 먼저 습득하고, 쉬지 않고 연마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health of the accident through writing.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is should be a demand for the times. This is one of many tasks that a society needs to enter into the ranks of advancement. This paper is interested in Big Data Analysis, which is deeply embedded in our life. However, big data analysis has limitations. The lack of a Korean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makes it impossible to draw a clear picture of a vocabulary group that is highly correlated with a Korean vocabulary or phrase. And to see how science and technology writing is related to Big Data. To do this, we first look at the status of the Big Data. Unlike other courses, writing is not something that should be taught in a specific subject. It is not comprehensive study, either. In a rigorous standard, it is not a collection of individual knowledge, but a rational way of approaching truth. Professional writing in science is mostly problematic. Various tasks to be solved by science have become a problem of scientific writing. The problem usually includes diagnosis and research direction and purpose of the problem situation.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writing is that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charts in addition to daily verbal descriptions. For this reason, the ability to understand social issues and apply science technology to social needs is an essential item. I analyzed the textbooks of the two universities and tried to focus on practical ones as much as possible. Scientific writing is difficult to apply the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department of study. Therefore, the students themselves must first acquire the theories of the chapter introduced in the textbook.

목차

1. 시작하는 글
2. 과학기술과 빅데이터
3. 전략적 표현을 위한 과학기술 글쓰기
4. 알고리즘의 절차적 이해
5. 마무리 하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영덕(Shim, young-deuk). (2017).빅데이터 시대와 과학기술 글쓰기의 실제. 교양교육연구, 11 (1), 553-580

MLA

심영덕(Shim, young-deuk). "빅데이터 시대와 과학기술 글쓰기의 실제." 교양교육연구, 11.1(2017): 553-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