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질병서사 문학을 활용한 도덕적 상상력 교육
이용수 84
- 영문명
- Moral Imagination Education using Illness Narrative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황효숙(Hwang, Hyo-sook) 김순애(Kim, Soon-A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3호, 153~1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병서사 문학을 활용하여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교육 방법론을 모색했다. 연구 접근은 우리의 도덕적 사고가 신체적, 물리적 차원의 경험으로부터 확장된 은유적 사고의 산물이라는 마크 존슨의 체험주의 윤리학을 차용했다. 은유의 복합체인 문학텍스트를 통해 실제적인 도덕적 경험의 구조와 구체적 특수성을 볼 수 있으며 상상력과 느낌을 통해 현전하는 것들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때 나타나는 내러티브적 상상력은 도덕적 상상력 함양에 크게 기여한다.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사건을 인지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행위는 윤리의 문제와 관련되어 도덕적 결정을 내릴 때 도덕적 판단의 과정을 채우는 인지적·정의적인 것들의 기초가 된다. 도덕적 가치나 규칙을 상황에 단순 적용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현실적 이해의 상상적 합리성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자기 삶과 타자의 삶에 대한 배려 윤리 실천의 도덕적 상상력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educational methodology of moral imagination based on the use of illness narrative literature. The research approach borrowed from Mark Johnson s empiricism ethics that our moral thinking is the product of metaphorical thinking extended from physical and environmental experiences. Through the literary text, a complex metaphor, we can see the structure and concrete specificity of actual moral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the present through imagination and feeling. The narrative imagination at this time contributes greatly to cultivate the moral imagination. Students recognition of events as a subject and judging values is the basis of cognitive and definitive things that fulfill the process of moral judgment when making moral decisions related to the problem of ethics. They understand moral values or rules as imaginative rationality of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rather than simple application to the situation. This ultimately can be a moral imagination of ethical practice in consideration of self-life and the lives of others.
목차
1. 도덕적 상상력 함양의 필요성
2. 서사를 활용한 도덕적 상상력의 확장
3. 질병서사 문학을 활용한 간호인문학 교육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성교육 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용 인성 척도 개발
-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을 통한 NCS 직업기초능력 향상 방안
- 창의적 표현 디자인 기술 구축과 실무교육 적용의 문제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wo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시민교육(digital citizenship education)의 필요성과 방향
-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대학생의 학습과정과 교양기초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으로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니즈 분석
-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의 성적부여 방식전환에 따른 변화양상
- 대학 RC교육의 운영 방안 연구
- 지역사회기반 인성교육 방식 및 효과성 연구
- 헤세의 교양소설 『페터 카멘친트』에 나타난 청년의 방랑과 성장과정
- Flipped PBL 과 Flipped Learning 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질병서사 문학을 활용한 도덕적 상상력 교육
- 융복합 연구를 통한 교양외국어교육 현실체감 EXALL 콘텐츠 개발 제안
- 대학생 자원봉사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 리더십생활 기술을 이중매개로 자원봉사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대상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Videoconferencing to Extend a General Education English Program- Design Decisions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공학에세이 쓰기 교육 모델
- The Effect of Reading Alou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EFL Learn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더보기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Impact of Sectoral Aid on Economic Growth in Nepal
- 한국과 국제사회 제8권 제6호 목차
-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