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을 통한 NCS 직업기초능력 향상 방안
이용수 90
- 영문명
- NCS Vocational Basic Ability Improvement through College Gener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경(Choi, Yoon-Kyu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3호, 525~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 교과목을 통한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 도움 되는 정도를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통해 전문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을 통한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의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6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걸쳐 D지역 Y대학에서 ‘현대사회와 인간’ 교양 교과목을 운영한 교수자 13명과 학생 1460명을 대상으로 해당 교과목을 통한 직업기초능력(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에 도움 되는 정도를 likert식 3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 평가에서 1학기와 2학기의 의사소통능력의 전체 평균은 2.50과 2.40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능력의 전체 평균은 2.40과 2.30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 전체 평균은 2.45와 2.34로 대체로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학생평가에서 1학기와 2학기의 의사소통능력의 전체 평균은 2.49와 2.56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능력의 전체 평균은 2.45와 2.49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 전체 평균은 2.47과 2.53으로 학생평가 역시 교수자 평가와 마찬가지로 해당 교과목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일반대학에 비해 짧은 수업연한으로 전공 중심의 교육과정에 맞춰져 이를 통해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해야 하는 전문대학생들로 하여금 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질과 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교양 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과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basic skills of NCS based on liberal arts curriculum of junior colleges through case studies analyzing the degree of helping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ability of the college through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t has its purpose. For this purpose, 13 professors and 1460 students who have conducted Modern Society and Human curriculum at D area Y university Colleg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2016 academic year will be given basic skill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3 likert scale.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of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was 2.50 and 2.40, and the overall average of interpersonal abilities was 2.40 and 2.30, respectively. Which is generally reported to have helped the improvement. The overall average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was 2.49 and 2.56, and the overall average of interpersonal abilities was 2.45 and 2.49. The overall average of basic competence was 2.47 and 2.53 The evaluation also showed that the subject, like the teacher evaluation, helped to improve the basic skills of the profession.
Therefore, a variety of cultures that help professional college students to grow into talented individuals with the qualities and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are required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perform their jobs and their basic abilities through a curriculum that is shorter than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전문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3. 교양 교육과정과 NCS 직업기초능력
4.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성교육 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용 인성 척도 개발
-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을 통한 NCS 직업기초능력 향상 방안
- 창의적 표현 디자인 기술 구축과 실무교육 적용의 문제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wo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시민교육(digital citizenship education)의 필요성과 방향
-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대학생의 학습과정과 교양기초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으로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니즈 분석
-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의 성적부여 방식전환에 따른 변화양상
- 대학 RC교육의 운영 방안 연구
- 지역사회기반 인성교육 방식 및 효과성 연구
- 헤세의 교양소설 『페터 카멘친트』에 나타난 청년의 방랑과 성장과정
- Flipped PBL 과 Flipped Learning 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질병서사 문학을 활용한 도덕적 상상력 교육
- 융복합 연구를 통한 교양외국어교육 현실체감 EXALL 콘텐츠 개발 제안
- 대학생 자원봉사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 리더십생활 기술을 이중매개로 자원봉사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대상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Videoconferencing to Extend a General Education English Program- Design Decisions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공학에세이 쓰기 교육 모델
- The Effect of Reading Alou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EFL Learn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더보기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Impact of Sectoral Aid on Economic Growth in Nepal
- 한국과 국제사회 제8권 제6호 목차
-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