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극 텍스트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과 비평적 글쓰기

이용수 72

영문명
Humanistic introspection and critical writing through drama text - focused on and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유미(Kim Yoo Mi)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4호, 175~20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문학의 가치를 소환해야 하는 교양교육의 입장에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극 장르인 희곡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인문학적 성찰을 비평적 글쓰기라는 결과물로 끌어내고자 하는 교육에 대한 것이다. 프랑스와 오종 감독의 영화 <인 더 하우스>에 대한 비평적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적 제안이기도 하다. 구체적인 수업방법은 원작에 해당하는 후안 마요르가의 희곡 <맨 끝줄 소년>을 읽고 희곡과 영상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비평적 글쓰기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수업 방식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희곡과 영상 텍스트라는 극 장르가 주는 장점을 십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텍스트를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주체가 되는 텍스트이다. 둘째 글쓰기가 지닌 의미를 다루는 텍스트이다. 셋째 윤리적인 문제들을 포함해 다양한 주제들을 성찰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넷째 희곡과 영상, 상호텍스트성의 난이도가 적당하다. 전공수업에서의 비평적 글쓰기와 차별하기 위해 이론적인 지식을 최소화하고 학생들이 영상 텍스트를 스스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희곡 텍스트를 읽고 논점들을 꺼내 놓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워보도록 한다. 그 다음에 영상 텍스트를 읽고 앞의 논점들을 겹쳐서 봄으로써 비교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논점을 잡고 이에 대한 발표문을 작성하고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은 학생이 희곡에서 놓친 부분을 다시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고 스스로 수정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 준다. 이 과정을 거친 이후에 <인 더 하우스>에 대한 비평적 글쓰기를 했을 때 충분히 고민한 결과를 글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객관성이 중요한 비평적 글쓰기의 객관성에 대한 최소한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것이다. 교수자가 미리 마련해 놓은 쉬운 길을 어려운 과제를 부여받은 학생들이 스스로 그 길을 찾아감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글쓰기 교육에서도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education which is trying to call humanistic introspection into the result as critical writing with specifically targeting drama text of the traditional play genre at the position of liberal education which should recall the value of humanity. It is also a methodological suggestion to efficiently do critical writing about the movie by Francois Ozon, . The specific teaching method is urging to do critical writing with the use of the intertextuality of drama and image after reading the drama by Juan Mayorga, which corresponds to the original work. This teaching method is not new, but aimed to fully utilize the advantages which are given by play genre of drama and image text. The reasons to select this text as follow; First, students are main in this text. Second, this deals with the meaning of writing. Third, various subjects including ethical issue can be introspected in this text. Fourth, the difficulty level of intertextuality of drama and image is appropriate. It is focused on the capability to interpretate image text by students themselves and minimize the theoretical knowledge to differentiate critical writing in major subject. To do this, the establishment of hypothesis based on discussion points uncovered after reading drama text is firstly needed. Next, new points should be generated by comparison process of overlapping previous discussion points after reading image text. Then, writing the statement and discussion about this can be followed. This process can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review and revise the missing parts in drama by themselves. When critical writing is done after this process, it can reflect the result of hard thinking to writing. What trying to get through this is to recognize the minimum value of the objectivity in critical writing where the objectivity is important. It is also important in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having difficult tasks to feel the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finding the easy path which is already provided by teachers by themselves.

목차

1. 서론
2. 극 장르와 학습자의 주체성 회복
3. 극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적 글쓰기 수업 시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미(Kim Yoo Mi). (2017).극 텍스트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과 비평적 글쓰기. 교양교육연구, 11 (4), 175-202

MLA

김유미(Kim Yoo Mi). "극 텍스트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과 비평적 글쓰기." 교양교육연구, 11.4(2017): 175-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