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평 교육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

이용수 92

영문명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Book Review Education Theor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구자황(Gu Ja-hwa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4호, 107~1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오늘날 우리 삶을 둘러싼 읽고 쓰기의 변화를 대학이 적극적으로 감당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정교한 이론을 갖춰 나가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다양한 비평 활동이야말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주된 유형이며, 이 가운데 서평은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가장 대표적인 비평 과제이다. 이 글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서평 교육의 주안점과 효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서평 교육의 이론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이 강조한 서평 교육의 주안점은 서평 쓰기 범주의 중층성, 범용성 활용하기, 그리고 분석적 읽기 중심의 읽기 교육 프레임을 극복이다. ‘대화적 문식성(dialogical literacy)’에 대한 이해와 공유는 이 글이 궁극적으로 강조한 개념이자 관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서평 텍스트의 최소 원칙, 즉 서평에 들어가야 할 텍스트 구성 유형을 제안하였다. 서평 이론의 정립 과정은 이를 뒷받침하고 검증하는 구체적 실행 방안과 병행할 때, 비로소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다. 과제에 대한 미흡한 장르 인식을 보완하고 장르의 중층성(中層性), 주제의 범용성(汎用性)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명료한 ‘과제 표상’을 함께 제시하고, 메타 텍스트로서의 서평 쓰기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수사적 전략’ 마련하는 일은 앞으로의 과제다. 서평 쓰기 교육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평과 분석과 평가를 수반하는 서평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서평 텍스트를 구성하는 유형을 알고, 좋은 서평에 대한 안목을 갖고, 실제 서평 쓰기를 할 수 있는 토대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서평 쓰기 교육은 궁극적으로 평생 독자를 견인하고, 글쓰기를 생활화·내면화하는 인간으로 이끌어야 한다. 서평을 맛집 후기처럼 생각하지 않지 않고, 서평을 전문가들의 현란한 지적 놀이터로 인식하지 않아야할 것이다. 서평이야말로 독서의 심화이고, 나아가 독서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take an active role in addressing changes to reading and writing surrounding human life today and establish a sophisticated theory for their writing education. Various criticism activities make one of major types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book review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criticism task in academic writing at college. The purposes of the paper were to examine the focus and efficacy of book review education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search for ways to theorize book review education based on them. The present study put an emphasis on two focuses of book review education, which were utilizing the attributes of the book review genre and overcoming the analytical reading-centric frame of reading education. The understanding and sharing of “dialogical literacy” was the concept and perspective that was ultimately emphasized in the study.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made independent proposals for the minimum principles of book review texts or the types of text organization to be included in book review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book review theory can increase in its effects when it is combined with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to support and test it. Future tasks include presenting a clear “task representation,” which will help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genre perception of tasks and make maximum use of the multi-layered nature of genres and the versatility of topics, and preparing a “rhetoric strategy” essential to writing a book review as a meta-text. Students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book reviews providing information from those which are accompanied by analysis and evaluation by learning the book review theories. A found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tudents to learn the types of book review text organization, develop an eye for good book reviews, and write a book review themselves. Book review writing education should pursue the ultimate goals of leading readers throughout their lives and helping them make writing a part of their life and internalize it. Book reviews should not be regarded as opinions about famous restaurants or experts’ brilliant and intellectual playgrounds since book reviews are the intensification of reading and further the completion of reading

목차

1. 서론
2. 개념의 오해와 범주의 혼란
3. 서평 교육의 주안점과 효능
4. 서평 교육 이론화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황(Gu Ja-hwang). (2017).서평 교육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1 (4), 107-137

MLA

구자황(Gu Ja-hwang). "서평 교육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1.4(2017): 107-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