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의 해시계와 문화교류 연구

이용수 392

영문명
A Study on the Sundials and Cultural Exchanges of East Asia - With Emphasis on Joseon’s and the Yuan Dynasty’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화선(Lee, Hwa-seon) 구사회(Gu, SA-wha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4호, 115~1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동아시아의 해시계와 전통 천문과학을 살펴보고, 이어서 조선 세종시대의 <앙부일구>와 원나라의 <앙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둘 사이의 특징과 문화교류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 문화교류사의 일단을 파악해보고 그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대상은 동아시아의 해시계로서, 해시계는 기원전 1500년경에 이집트에 존재했던 것이 확인된다. 중국에서도 태양의 그림자를 재는 규표인 노몬(Gnomon)의 존재가 기원전 7세기 무렵에 있었으며 수준 높은 천문의기가 주나라 이전 시기에 있던 것이 문헌으로 확인된다. 이집트의 천문학은 일찍이 그리스와 로마를 거쳐 이슬람으로 들어갔다. 이것은 다시 중국으로 들어가 원대에는 고대로부터 내려온 중국의 천문과학과 결합하여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17세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이 서양의 우수한 역법을 중국에 전하였고, 한편으로 중국의 적도식 해시계를 유럽으로 가져갔다. 여기에서 동양과 서양의 과학이 쌍방향 교류를 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원이 쇠퇴한 이후에 천문학은 조선으로 전해져서 더욱 구체적으로 발전하였다. 조선 세종시대의 천문 과학은 태종의 과학정책을 계승하면서 답습이 아닌, 창의적으로 발전하였다. 당시 혼천의와 기계 시계가 결합되어 혼천시계가 발명되었는데, 이것은 동양의 전통과 서양의 기술이 결합되어 조화를 이룬 새로운 발명품이었다. 그리고 세종 16년(1434)에 공개된 <앙부일구>도 원나라 곽수경이 만든 <앙의>를 참고한 것이지, 실상은 매우 다른 창조적인 해시계로 여겨진다. 이것은 제왕의 권위를 내세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백성에게 편리함과 유용성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한 마디로 이들 동아시아의 전통 천문과학은 ‘인간 중심’ 내지 ‘인간본위’의 실용적 사고를 기초로 하고 있었다. 동아시아 천문과학의 중심 발명품인 이들 해시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문화 교류의 특징적 면모가 드러난다. 그것은 과학문명이 일방적으로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전해오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순행적으로 확장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undials and traditional astronomy of East Asia and comparatively analyzed of the time of Joseon King Sejong and of the time of Khubilai Khan of the Yuan Dynasty. A sundial existed in Egypt around 1,500 B.C. and China already had advanced astronomical devices around the 7th Century B.C. The astronomy of Egypt entered the Islamic states through Greece and Rome. It then transmitted to China to combine with the astronomy of the Yuan Dynasty to trigger a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17th Century, the missionaries of the Society of Jesus transmitted the advanced western calendar to China and took to Europe the equatorial sundial of China. This tells that the science of East and West shared a two-way exchange. After the fall of Yuan, astronomy was transmitted to Joseon for further development. The astronomy of Joseon in the time of Sejong succeeded the scientific policies of King Taejong and developed in a creative way, not in a conventional way. It was to bring convenience and usefulness to the people, not to strengthen the king s authority. Considering the sundials, which are the major inventions of astronomy in East Asia, it is possible to see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cultural exchange. It means that the scientific civilization was not transmitted from one way to another, but each culture developed independently and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to expand.

목차

1. 머리말
2. 동아시아의 해시계와 전통 천문 과학
2.1. 동아시아의 해시계
2.2. 동아시아의 전통 천문과학
3. 조선의 <앙부일구(仰釜日晷)>와 원의 <앙의(仰儀)> 비교
3.1. 조선의 <앙부일구(仰釜日晷)>
3.2. 원의 <앙의(仰儀)>
4. 해 시계를 통해 본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선(Lee, Hwa-seon),구사회(Gu, SA-whae). (2016).동아시아의 해시계와 문화교류 연구. 문화와융합, 38 (4), 115-144

MLA

이화선(Lee, Hwa-seon),구사회(Gu, SA-whae). "동아시아의 해시계와 문화교류 연구." 문화와융합, 38.4(2016): 11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