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 연구

이용수 179

영문명
A Study of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Urban Regeneration Planning Elements in Climate Change Response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이정동(Lee, Jeong Dong)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7권 제3호 (통권 제45호), 39~5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 기후변화대응 연구 검토 및 사례조사를 통해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사업유형화를 진행하였다. 도출된 기후변화 대응 유형별 계획요소는 녹색교통, 물리적시설 개선, 거버넌스 체계 구축, 대체에너지로 유형화하고 선도지역과 일반지역을 대상으로 관련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대응 도시재생 계획요소들은 4가지 유형 14가지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에너지 도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물리적 시설개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각 항목의 하위 지표를 살펴보면 녹색교통은 자동차 억제, 물리적시설은 자연재해 예방, 거버넌스는 민간협의체 구축, 대체에너지 도입은 산업생태계 연계 구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녹색교통은 분야는 이동거리감소, 물리적 시설개선은 건축물 에너지 효율증대, 거버넌스는 주민교육 운영, 대체에너지 개발은 재생가능 에너지 개발이 가장 낮은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대체에너지 관련 사업을 도입하고 다양한 산업생태계 연계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재생사업 추진이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urban regeneration of climate change response by the plan factors and project type. this study aim to extract planning elements transport, environmental, governance, resource and energy efficient, urban regeneration (durations of 2014, 2016) by analyzing its plan factors and projet type. The result showed that planning element of climate change response, urban regeneration can be sorted in 14 elements in 4 categories. In-depth analysis indicated that established planning elements were importantly dealt in cases. Also, alternative energy was the highest and the physical improvements the lowest. Looking at the sub-indicators of each item, transportation was the highest priority for driver’s vehicle control , preventing natural disasters for physical facilities, village community for governance, and introducing alternative energy, while transportation was the sector with the highest priority for reducing travel distance, improving physical facilities, increasing building energy efficiency, operating residents’ education,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conclusion, it seems necessary to introduce alternative energy-related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climate change responses through links to various industrial ecosyste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분석 개요 및 사례분석
Ⅳ. AHP분석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도시재생지표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동(Lee, Jeong Dong). (2019).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7 (3), 39-52

MLA

이정동(Lee, Jeong Dong).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 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7.3(2019): 3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