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 초기 적응 스트레스 대처과정

이용수 654

영문명
The stress coping process of local campus students in early college lif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오현수(Oh, Hyunsoo)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2輯, 151~18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초기 학교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및 대처과정을 질적 분석함으로써, 지방캠퍼스 신입생들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전략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본교를 둔 4년제 종합대학의 지방캠퍼스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였고, 이들의 대학생활 초기 적응 스트레스 대처과정에 대한 경험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초기 학교 적응 스트레스 대처과정의 핵심범주를 ‘실존적 현실 직면을 통한 자기 확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초기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심각성이 부각되었고, 생존전략으로서의 자기보호적 대처로부터 점차 문제해결적 대처로의 전환에 ’관점 변화와 현실 직면‘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의 적응 스트레스 대처를 촉진시키는 조건으로서 ‘긍정적 자기 인식’과 ‘미래 성장 욕구’ 및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초기 적응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유형을 ‘자발적 도전형’, ‘탄력적 회복형’, ‘갈등적 수용형’, ‘점진적 변화형’, ‘적극적 지지추구형’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of local campus students in early college life. This study aims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which is to define and to explain the experiences of the stress coping process of students at a local campus of a college that has a main campus in Seoul. For this purpose, 20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were interviewed to collect their experience of stress coping at the beginning of their college life.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Strauss and Corbin s(1998)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core category of the coping process of local campus college students early school life was revealed as Self-grow through facing existential reality . In this study, the severity of interpersonal stress was emphasized in the early college life of the local campus student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Change of perspective’ and ‘Facing reality’ is important for the transition from self-protection as a survival strategy to active problem-solving.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ositive Self-awareness’, ‘Desire for future growth’ and ‘Social support’ as a condition to promote stress coping of the local campus college students. There were five types of stress coping styles for college students at local campuses: voluntary challenge resilient recovery, conflicting acceptance, progressive change, active support seek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현수(Oh, Hyunsoo). (2019).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 초기 적응 스트레스 대처과정. 교육문제연구, 72 , 151-187

MLA

오현수(Oh, Hyunsoo).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 초기 적응 스트레스 대처과정." 교육문제연구, 72.(2019): 151-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