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ㆍ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

이용수 458

영문명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 Longitudinal Analysis of 8th Grade to 11th Grad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동진(Kim, Dong-Jin)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2輯, 107~1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를 활용하였으며(N = 2,280),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2 시점부터 고2 시점까지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 변수 중에서 부모와의 관계는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는 중2 시점에서 고2 시점까지 모든 시점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과 학업성취는 고2 시점을 제외한 중2 시점부터 고1 시점까지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청소년의 해외방문 경험은 모든 시점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청소년의 성별이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은 우리 사회가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기초로 하여 더욱 민주적인 사회로 발전하도록 하고, 미래 청소년들이 문화적 차이를 긍정할 수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from 8th grade to 11th grade.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increased from 8th grade to 11th grade continuously.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ffected intercept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relationships with peer and teachers had a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all time points from 8th grade to 11th grade. Third, student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rom 8th grade to 10th grade. Fourth, previous visit experience for overseas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all time points. Fifth, the gender of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cept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lope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진(Kim, Dong-Jin). (2019).중ㆍ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 교육문제연구, 72 , 107-130

MLA

김동진(Kim, Dong-Jin). "중ㆍ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 교육문제연구, 72.(2019): 107-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