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아리랑 탐구의 한 방향

이용수 368

영문명
Another Trend in Analyzing Arir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Focusing on Popular Point of view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최은숙(Eun Sook Choi)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7집, 203~2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아리랑을 민중적 관점에서 논의한 학술담론의 현황과 주된 논점에 대해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 아리랑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아리랑이 민족의 노래로 호명되고 격상되는 과정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래서 아리랑을 본격적인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이에 대한 독자적인 논의를 펼친 민중적 시각은 오히려 간과되는 측면이 있었다. 본고는 아리랑을 민중적 관점에서 다룬 학술적 담론을 주목함으로써 아리랑이 지닌 저항의 실제적인 맥락을 확인하였다. 김동환, 김재철, 김태준, 고정옥의 논의가 대표적이다. 특히 김재철과 김태준, 고정옥은 아리랑을 독립적인 장을 통해 논의하였고, 그 정체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들은 민중적 관점에서 아리랑을 조망함으로써 아리랑의 참요적 성격과 풍자성을 확인해 내었고,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보여주려 했으며, 아리랑이 현재를 담을 수 있는 노래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독립군아리랑이나 민요시 창작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는 아리랑에서 조선의 정서와 심미적 신비성을 확인하려는 담론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향토성에 기반을 둔 복원의 대상으로 보는 민요인식과 도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views and anlayzes the situation and the main issues of academic discussions about Arirang, which were made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tudies on Arir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focused on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Arirang was called a representative Korean folksong and given an iconic status representing the Korean People. For this reason, the popular point of view, from which Arirang was seriously studied and an independent research trend was formed, has not received due atten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academic discourses on Arirang developed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in order to identify real resistant contexts implied by Arirang. Those who analyzed Arirang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revealed its prophetic and satirical characteristics and pointed out that Arirang conveyed the reality of the colonial Chosun and thus could represent the contemporary time. In this regar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reating an Arirang of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folk lyrics was provided. This trend is significant in its difference from the other trends by which Arirang carries the sentiment of Chosun and aesthetic mysticism or is a folksong that needs to be restored base on folk culture. However, the discussions based on the popular viewpoint did not fully reflect or lead the practice and enjoyment of Arirang in real life. These limitations should also be noted.

목차

초록
1. 서론
2. 일제강점기 아리랑 담론의 양상과 민중적 관심
3. 민중적 관점에서의 아리랑 탐구와 방향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숙(Eun Sook Choi). (2019).일제강점기 아리랑 탐구의 한 방향. 동남어문논집, 47 , 203-226

MLA

최은숙(Eun Sook Choi). "일제강점기 아리랑 탐구의 한 방향." 동남어문논집, 47.(2019): 203-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