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세기 안동지역 서당의 경제적 기반

이용수 93

영문명
The Financial Ground of Seodang in Andong during the 16th Centur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수환(Lee Soo Hwa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9집, 171~19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중반 안동지방은 퇴계학파의 형성과 함께 재지사족의 형세가 급격히 신장되었고, 이들 문도들이 지방 수령으로 나아가 서당·서원을 설립하기도 하고, 또한 각기 거주지를 중심으로 서당을 개설하여 자제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실제『영가지』에 의하면 20여 개의 서당·정사·서재가 실려 있으며, 이들 설립을 주도한 인물은 퇴계의 문인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들 퇴계문도들은 동일한 교육 목표를 가지고 서원ㆍ서당 설립 운동을 주도하면서 16세기 중반 이후의 새로운 교육환경을 만들어 나갔다. 이들 서당·정사는 문중단위로 도처에 건립되었는데, 자료상의 문제로 구체적인 경제적 기반은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비슷한 시기에 건립되었던 서원의 경제력 확보방법과 유사한 점이 있었다고 본다. 하지만 서원의 건립에 일향 사림이 공동 참여한 것과는 달리 서당은 대부분 문중, 촌 단위 또는 재지사족 개인이 개별적으로 건립하였다. 그래서 양자 간의 경제적 기반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고 보인다. 다만 경제력 확보 방법에 있어서는 서당·서원의 건립주체가 같은 재지사족이었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었다고 본다. 한편 안동 풍악서당과 같이 관의 지원을 받거나 지방관이 교육활동의 일환으로 건립한 서당의 경우에는 초기 서원 못지않은 경제적 기반을 갖추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당시 관에서는 서원과 마찬가지로 재지 사족들이 폐찰을 이용하여 서당을 건립하는 것을 허가 내지 묵인하거나, 서당건립자의 위상에 따라 승도를 소속시키거나 쌀을 기부하고, 토지와 노비에 대한 면세, 면역의 혜택을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서당 건립과 운영에 있어서 관의 지원은 특별한 경우로 보이고, 대부분의 서당은 문중 자체적으로 또는 향촌사림의 기부 등 자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In the mid-16th century, the influence of jaejisajok increased rapidly in Andong along with the formation of Toegye School. Moreover, the disciples were appointed as the head of a region and founded seodang and seowon and also opened seodang where they lived and taught their children aggressively. As a matter of fact, 『Yeonggaji』 deals with 20 or so seodang, jeongsa, and seojae, and those who led the foundation of them were mostly Toegye’s literary persons. These Toegye’s disciples initiated the movement of founding seowon and seodang with a common educational goal and created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the mid-16th century. Those seodang and jeongsa were built all over as a family unit, but it is hard to figure out their financial ground concretely due to the material-related issues. However, we can assume that it should have been similar to the way of securing the financial power of seowon founded in the similar period. Yet, seowon were built through Ilhyang Sarim participating collaboratively whereas seodang were mostly founded individually as a family, village, or individual jaejisajok unit. That is why there should have been much difference in the financial grounds of the two. Regarding the way of securing economic power, however, we can assume that there was a similarity that the agents of founding seodang and seowon were the same jaejisajok.

목차

Ⅰ. 머리말
Ⅱ. 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ㆍ서원건립
Ⅲ. 서당의 경제적 기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환(Lee Soo Hwan). (2018).16세기 안동지역 서당의 경제적 기반. 민족문화논총, 69 , 171-199

MLA

이수환(Lee Soo Hwan). "16세기 안동지역 서당의 경제적 기반." 민족문화논총, 69.(2018): 171-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