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the Japanese Sentence-ending Particle ‘sa’, ‘na’, ‘ne’ and ‘yo’ in Japanese Novels and Movies
발행기관
일본어문학회
저자명
孫 仁 淑(Son, In-Suk)
간행물 정보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4輯, 117~14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本論文では口語文や文語文において共通して使われ、間投助詞としての 機能も持つ終助詞 さ な ね よ が韓国語のどの終結語尾と対応させて 翻訳しているのかを調査した。出典別の終助詞の使用頻度は ね (29%) > よ (27.6%) > な (5.6%) > さ (2.6%)の順に使われていて、対応する翻 訳語の頻度順位は次のようである。終助詞 さ は省略(26) > 意譯(16) > ‘-아’(9) > ‘-지’(7) > ‘-다니까’(3) > ‘-ㄴ데’(2)=‘-래’(2) > ‘-고’(1)であり、終 助詞 な は‘-아’(23) > ‘-ㄴ가’(21) > 意譯(18) > ‘-다며’(13) > ‘-구나’(12)= ‘-지’(12) > ‘-ㄹ까’(11) > 省略(8) > ‘-네’(7) > ‘-니’(4) > ‘-고’(3)=‘-ㄴ데’(3) > ‘-게’(2)=‘-걸’(2)=‘-다니까’(2) > ‘-래’(1)=‘-오’(1)である。また終助詞 ね の場合は省略(175) > ‘-아’(107) > 意譯(82) > ‘-지’(73) > ‘-네’ (71) > ‘-ㄹ까’(43) > ‘-구나’(32) > ‘-다니까’(25) > ‘-래’(21)=‘-요’(21) > ‘-에요’ (20) > ‘-ㄴ가’(17) > ‘-고’(14) > ‘-요’(13) > ‘-ㄴ데’(11) > ‘-거든’(8)=‘-니’ (8) > ‘-게’(3) > ‘-세요’(2) > ‘-ㄴ걸’(1)=‘-란다’(1)=‘-아라’(1)であり、最後 に終助詞 よ は‘-아’(415) > 意譯(49) > ‘-지’(48) > 省略(42) > ‘-에요’(23) > ‘-ㄴ데’(22) > ‘-게’(18) > ‘-고’(13) > ‘-자’(11) > ‘-요’(10) > ‘-다니까’(9) > ‘-구나’(8)=‘-ㄹ까’(8) > ‘-네’(6)=‘-아라’(6) > ‘-거든’(5)=‘-ㄴ걸’(5) > ‘-세 요’(4) > ‘-ㄴ가’(2)=‘-는대’(2) > ‘-니’(1)‘-래’(1)である。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d : Japanese sentence-ending particles, such as ‘sa’, ‘na’, ‘ne’ and ‘yo’, which are used in spoken and written lanuuage and have interjectional function in common, are translated in response to what Korean sentence-closing ending. The result is as follows : The order of sa is Omission > Liberal translation > ‘-a’ > ‘-ji’ > ‘-danikka’ > ‘-nde’=‘-rae’ > ‘-go’, na is ‘-a’ > ‘-nga’ > Liberal translation > ‘-damyeo’ > ‘-guna’=‘-ji’ > ‘-lkka’ > Omission > ‘-ne’ > ‘-ni’ > ‘-go’=‘-ndae’ > ‘-ge’=‘-jeol’=‘-danikka’ > ‘-rae’=‘-o’ in order, and ne is Omission>‘-a’ > Liberal translation > ‘-ji’ > ‘-ne’ > ‘-lkka’ > ‘-guna’ > ‘-danikka’ > ‘-rae’=‘-yo’ > ‘-eyo’ > ‘-nga’ > ‘-go’ > ‘-yo’ > ‘-nde’ > ‘-geodeun’=‘-ni’ > ‘-ge’ > ‘-seyo’ > ‘-ngeol’=‘-randa’=‘-ara’. And yo was used in order of ‘-a’ > Liberal translation > ‘-ji’ > Omission > ‘-eyo’ > ‘-nde’ > ‘-ge’ > ‘-go’ > ‘-ja’ > ‘-yo’ > ‘-danikka’ > ‘-guna’=‘-lkka’ > ‘-ne’=‘-ara’ > ‘-geodeun’=‘-ngeol’ > ‘-seyo’ > ‘-nga’=‘-neundae’ > ‘-ni’=‘-ra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본고의 입장
3. 종조사의 의미분류와 종결어미와의 대응관계
4. 종조사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孫 仁 淑(Son, In-Suk). (2019).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일본어문학, 84 , 117-141

MLA

孫 仁 淑(Son, In-Suk).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일본어문학, 84.(2019): 117-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