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이용수 183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남영희(Nam, Young-Hee) 조영미(Jo, Young-Mi) 이순욱(Lee, Soon-Woo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0집, 289~32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기능 중심의 예능교육을 지칭하던 기존 개념 에서 나아가 ‘문화’라는 큰 범주에서 사유된다. 그것은 문화예술의 내재적 원리를 통해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취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이자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삶의 질 개선, 창조력 함양을 위한 국가 정책의 대상이기도 하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국가의 창의력을 견인할 수 있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점차 외연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부산의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분권의 시대를 맞이하여 부산의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부산지역은 정책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이 시작된 이래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산, 사업 대상과 규모 확대, 교육 인프라 확충, 문화향유의 기회 확대, 지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이라는 성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부산문화재단(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부산문화예술교육연합회(예 술강사지원센터),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역 내 기타기관을 대상으로 지원 사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가로막는 공급자ㆍ중앙 주도적 정책 체계,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취약 성, 교육내용의 미비와 방법론 부재, 관리시스템 부실, 교육대상의 불균형 심화, 문화예술 담당자나 학교관계자ㆍ교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성과 시스템 미구축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이 처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도 정비와 기관별 협력체계 구축, 운영체제 개편을 통한 지역 집중성 강화,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생활권과 연계된 문화 예술 교육기반의 점진적 확대,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시와 문화 향유의 기회 확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영역별 연계성 강화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었 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기반을 고도화하기 위해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 강화,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확대, 국내외 문화예술 교육의 동향과 실태조사 연구기반 마련도 시급한 과제였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the n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garded only as technique education of art. But these days it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culture. The inherent worth of art delivered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llow humans to understand and cultivate himself. It is also a national policy object in terms of discovering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veloping creativity of the nati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desired direction for social amplifica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usan focused on projects by  Busan Cultural Foundation, Federation of Busan Culture and Art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o far, it has achieved success by value spread of culture & art education, quota growth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problems such as limitations due to central government and supplier oriented policies, vulnerability in local ecosystems, imbalanced education targe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mong school officials and teachers. Thus,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1. to build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by regional network activation, region concentration and law system maintenance; 2. to establish demand-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life-zone based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culture and arts; 3. to improve qua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teaching competency advancement, online platform system and research infrastructure.

목차

1. 들머리
2.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1) 주관기관별 문화예술교육
2) 학교문화예술교육
3) 사회문화예술교육
4)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한계
3.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
1)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2) 수요자 중심의 교육환경 구축
3) 문화예술교육 질적 기반 고도화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영희(Nam, Young-Hee),조영미(Jo, Young-Mi),이순욱(Lee, Soon-Wook). (2018).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80 , 289-322

MLA

남영희(Nam, Young-Hee),조영미(Jo, Young-Mi),이순욱(Lee, Soon-Wook).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80.(2018): 289-3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