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체장애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의 인식과 형상화

이용수 171

영문명
The Awareness and Imagery of Physical Disabilities by Literati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강혜종(Hyejong Ka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0집, 65~10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신체장애가 조선후기 문인의 글쓰기에 구현되는 문학․문 화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선후기 관찬서와 문집, 주요 저작 등에 나타난 신체장애에 대한 인식 및 형상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조망하고 특징적인 면모를 밝혔다. 조선후기 문인의 신체장애(인)에 관한 논의는 民으로서의 처우에 관하여 이루어졌다. 신체장애인은 하층민의 표상으로 호명되었고, 문인들 에게 사의식과 위정자의 정체성을 환기시켰다. 신체장애를 지닌 民은 고제로부터 특별한 사회적 ‘보살핌’이 필요하여, 자립적으로 삶을 영위하도록 지원해야 하는 대상임과 동시에,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그 장점을 취하여 맡은 바 소임을 맡겨야 하는 用人의 대상이었다. 신체장애의 특수 성에 따라 법률과 예법을 예외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모색은, 신체장애인을 함께 공존해야 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식한 당대의 노력이었다고할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차별과 궁핍한 현실에 처한 신체장애인에 대한 긍휼의 태도와 인간적인 연민, 육신의 유한성에 기반한 연대감 등이 현실적 정치 운용의 원리에 작동한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17-19세기 조선후기 문인들의 작품에서는 신체장애에 대한 상세한 묘사나 직설적인 평가를 비교적 찾아보기 힘들었고, 대체로 서술 대상의 불완전성을 드러내거나, 자신에 대한 겸양이나 삶의 성찰 등의 문맥에서 신체장애가 비유적․상징적으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비장애와 장애가 우․열의 구도로 인식되었기에, 신체장애의 여러 표현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역설적인 상징성을 부여하거나 신체 장애에 대한 차별적 인식에 반대하는 관점을 드러내는 작품도 발견할수 있었다. 다수의 작품에서 신체장애는 성찰의 기제였는데, 이는 유교 지식인의 士意識과 ‘文’에 대한 관념이 장애라는 소재의 서술 문맥과 형상화에 미친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박지원과 조수삼의 경우를 통해, 신체장애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의 인식과 형상화 방식의 스펙트럼을 가늠해보았다. 신체장애를 우․열이 아닌 ‘차이’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연암은 신체장애에 대한 직접적 언술을 꺼리는 태도에서, 대상의 참모습을 왜곡시키는 차별적 시선을 발견하고 비판하였다. 조수삼은 󰡔추재기이󰡕에 경계인으로 살아온 개별 신체장 애인을 주인공으로 입전하고 시를 지어, 그들의 존재와 삶의 의미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기이’의 대상으로서 이상화된 민의 가치가 투영된 측면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18-19세기 역동적 사회상이 문단의 새로운 풍조를 추동하는 가운데에서도, 당대 지식인 관찰자의 글쓰기가 지니는 한계의 일면이라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the late Joseon writers’ awareness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ir writing; it explores the awareness of physical disabilities in major works of writing and the context of the descrip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as well as the method of imagery. Following an ancient statute, subjects of the dynasty who had physical disabilities were considered to be the ones who were in need of special social ‘care’ by arranging their livelihood so that they can lead their lives independently. Evidences of ‘benevolent ruling (仁政)’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embrace their exceptional situations within the system, such as social production, application of the law, and performance of the rules of decorum, can be observed in the wri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his was the result of compassion and humanistic sympathy towards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face social discrimination and impoverished reality as well as a feeling of solidarity for the finitude of the physical body acting upon the principle of realistic governance. In the 17 th to 19 th century Joseon dynasty writings by literati, it was comparatively difficult to find direct descriptions or evaluation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writings from this period have the characteristic of using physical disabilities as metaphors or symbolisms within the context of humility and introspection as well as in comparison to incompleteness. Overall, the writers seem to have looked at being without disabilities and having disabilities in terms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s such, physical disabilities were mostly used in negative connotations; however, some works highlighted a perspective of opposing the discrimination for physical disabilities or assigned paradoxical symbolism to physical disabilities. In writings that used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reality of oneself or others as the subject matter, physical disabilities had a tendency to be a mechanism that urged a change in the attitude towards life through introspection. Especially, through the two writers of Bak Ji-won and Jo Su-sam who showed new perspectives by breaking the typical writing methods and writer consciousness, the present paper explored the various layers of awareness of late Joseon literati for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ir methods of expression. The writings of Bak Ji-won viewed physical disabilities as ‘differences’ rather tha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nd criticized the atmosphere at the time in which the discriminatory gaze towards physical disabilities was reflected in the methods of expression with the attitude of avoiding direct discussion of physic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writings of Jo Su-sam, from the Jungin (Intermediary; 中人) class in society, which illustrate the lives of peripheral individuals who had been overlooked, were significant for depicting new forms of human and humanity by includi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new methods of writing biograph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at the same time, his writings also projected an idealized image of the subject of the dynasty who continued their designated duties, showing the otheriza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by literati.

목차

1. 머리말
2. 신체장애(인)에 대한 논의와 인식:
‘民’으로서의 신체장애인
3. 신체장애(인)의 서술 문맥과 형상 화의 특징
1) 불완전성의 비유․상징․역설:
겸양과 성찰의 대상화
2) 신체장애(인)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혜종(Hyejong Kang). (2018).신체장애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의 인식과 형상화. 한국문학논총, 80 , 65-100

MLA

강혜종(Hyejong Kang). "신체장애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의 인식과 형상화." 한국문학논총, 80.(2018): 65-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