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길림-흑룡강성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에 관한 검토

이용수 346

영문명
A review on Neolithic fishing tools of the Jilin-Heilongjiang provinc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상규(Sang-kyu, Lee)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0호, 17~5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길림-흑룡강성지역의 어로구는 크게 어망추 및 작살과 기타 찔개살·단식조침·빗창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어망추는 석제와 토제로 대별되는데, 석제는 어망추홈의 양상에 따라 5가지 형태로 세분된다. 작살은 골각제만 확인되며 고정식과 분리식으로 구분되는데 전체형태 및 미늘의 수에 따라 14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길림-흑룡강성은 한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상당히 넓은 지역으로 다양한 신석기시대 문화가 존재한다. 길장지역은 좌가산문화, 송눈평원지역은 앙앙계문화, 삼강평원지역은 신개류문화, 목단강유역은 앵가령하층문화로 대표되며, 각 문화는 지역에 따라 고유의 토기문화전통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지역문화의 병행관계 설정 및 문화별 특징의 고찰을 통해 각 지역에 대한 어로구의 종합적인 검토를 하고자 한다. 시기의 구분은 어망추 및 작살의 양상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좌가산1~2기·쌍탑1기·앙앙계문화 파산유형·신개류문화, 2단계는 좌가산3기·앙앙계문화 오복M2기·흥성1기·앵가령하층기, 3단계는 토성리기·오녀산성F48기·소랍합1기 을·석회장하층기에 해당한다. 공간적 양상에서는 각 단계에 따라 지역별 문화에 세부적인 차이가 있지만 큰 틀에서 송눈평원·길장지역 서편·삼강평원은 작살중심, 목단강과 길장지역 동편, 그리고 압록강 중·상류 및 두만강 중류역에서는 어망추 중심의 어로구양상이 확인된다. 도구조성에서도 어로구 중 작살 중심지역은 수렵·어로구가, 어망추 중심지역은 굴지구와 제분구류 등 채집·농경구가 주로 조합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태환경 및 초기농경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로구와 도구조성의 차이는 대체로 북위45°를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북위45°는 초기농경의 북방한계선으로 이와 더불어 환경적인 요소들이 두 어로문화권을 분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동북지역과 길림-흑룡강성지역은 일정부분 유사성과 차이점을 모두 지니고 있는데, 이는 각 지역별로 생업조건에 따라 지역성을 가지며 발전해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Fishing tools in Jilin-Heilongjiang region can be distinguished by net-sinker, harpoon, spear·fish hook·shellfish gathering tool, etc. The net-sinkers were made of stone and ceramic, stone net-sinker can be categorized as five different types. Harpoons were only made of bone and categorized as stationary type and separable type, that would be sub-categorized as 14 types. Jilin-Heilongjiang region which is three times larger than the Korean peninsula, has various cutures in the Neolithic period. For instance, the Jilin province area is represented by Zuojiashan culture, Songnen plain area An’anxi culture, Sanjiang plain area Xinkailiu culture, and Mudan river Basin Yinggeling, lower stratum. Each culture has own culture of pottery. In this study, I examine aspect of the overall fishing tools of each reg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chronology can be divided by three phases according to the aspects of net-sinker and harpoon. The first phase is comparable to the first two phases of Zuojiashan, the first phase of Shuangta, Bashan style of An’anxi, and Xinkailiu culture. The second phase is matched with the third phase of Zuojiashan, An’anxi culture, the secon phase of Wufu‘M’, the first phase of Xingcheng, and the lower layer of Yinggeling. Lastly, the third phase is corresponding to Tosung-ri period, Wunu mountain fortress F48 period, the first phase of Xialaha first period group B, and the lower layer of Shihuichang. In terms of the regional aspect,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s within each culture througout the phases bu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in to two: (1) harpoon centered fishing tools in Songnen plain·western Jilin region·Sanjiang plain, (2) netsinker centered fishing tools in Mudan river and eastern Jilin region, and upper reaches of the Amnokgang river and mid-Tumen river. When it comes to the tool composition, the harpoon centered fishing tools might be combined with hunting and fishing tools, the net-sinker centered fishing tools with dighttpging tools, milling tools, etc. representing the combination of gathering and agriculture tools. These aspects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ecological situtation and early agricul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shing tools and the tool composition can be distinguished by reference at 45° north latitude. The northern limit of 45°N which is the northern limit of early agriculture, and evironmental factors might be considered to have separated the two cultural regions. North-eastern Korean peninsula and Jilin~Heilongjiang province regions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ince the each region had developed loca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onditions of subsistance.

목차

Ⅰ. 머리말
Ⅱ. 어로구의 종류 및 분류
Ⅲ. 어로구의 시 · 공간적 양상
Ⅳ. 길림-흑룡강성지역의 생업양상과 한반도 동북지역과의 관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규(Sang-kyu, Lee). (2018).길림-흑룡강성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에 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00), 17-50

MLA

이상규(Sang-kyu, Lee). "길림-흑룡강성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에 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00(2018): 1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