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소송

이용수 159

영문명
LAWSUITS RELATED TO GRAVES DURING CHOSUN DYNASTY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손경찬(Son Kyoung Chan)
간행물 정보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42輯 第1號, 5~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분묘 소송에 관한 것이다. 우선, 분묘에 관한 소송에 적용되었던 법조문이 조선의 법전에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 입법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분묘 소송에 적용되는 준거법이 조선시대의 민사판결서인 決訟立案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國典이었던 ≪經國大典≫에 있던 분묘의 한계 규정은 분묘 소송을 대비하고 입법한 것은 아니었다. 이 규정은 분묘의 일정한 경계 안에서 경작과 목축을 금하는 것이었다. 조선 중기 이후 분묘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어 분묘소송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經國大典≫의 규정이 미비하여 분묘 관련 소송에 적용될 법조문이 부족하였다. 그래서 ≪受敎≫를 제정하여 사건별로(Case by Case)해결책을 마련하였다. 특히 산지의 廣占을 허용한 1676년 受敎는 ≪經國大典≫규정과 모순되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하여 새로운 ≪受敎≫를 제정하였고, 집적된 수교는 이후 ≪續大典≫을 편찬할 때 모두 편입되었다. 특히분묘에 관한 ≪受敎≫는 대부분 國典으로 편입된 중요한 것이었다. 또한 조선시대의 민사판결서인 결송입안을 통해 분묘관련 판결사례를 살펴보 았다. 결송입안을 통해 알 수 있는 분묘 소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분묘소송이 제기 되었을 때 재판관은 ≪經國大典≫ 등 법전의 규정을 충실히 적용하였다. 둘째, 분묘소송에서 당사자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경우 재 판관이 직접 가서 해당지역 산세와 분묘의 양상을 실측하였다. 특히 ‘앉아서도 서서도 안보임(坐立俱不見)’여부는 재판의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논거였다. 셋째, 조선시대의 분묘소송은 법규정(Rule) 이외에도 법원리(Principle)에 해당하는 ‘情 理’를 중시하였다. 결국, 조선시대의 분묘소송에서 재판관은 종합적인 ‘고찰(親審摘奸)’을 하여 ‘情理’와 ‘法’을 모두 고려하여 판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on the lawsuits related to the tombs during Chosun Dynasty. First of all, there was examined the procedure of how the provisions of the law that was applied to a lawsuit related to a tomb was legalized through what kinds of processes were taken. And also, there was examined how the governing law applied to a lawsuit related to a tomb was applied to the civil case judgment paper, “Gyeol-Song-Ip-Ahn(決訟立案)”. The definition of the boundary of a tomb specified in A National Law of Chosun Dynasty, “Gyeong-Kuk-Dae-Jeon(經國大典)” was not intended to prepare for a lawsuit related to a tomb. The provision was intended to prohibit any cultivation and livestock farming within a certain boundary of a tomb. After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conflicts regarding to tombs increased and were worsened. Accordingly, the lawsuits relating to tombs increased. However, since there were not so enough provisions relating to tombs in the National Law, “Gyeong-Kuk-Dae-Jeon(經國大典)”, the provisions of the law to be applied to the lawsuits relating to tombs were not enough, too. Therefore, many solutions were prepared case by case by having enacted the “Royal Order (受敎, Sugyo)”. Especially, the royal order (受敎, Sugyo) that allowed an over-occupation (廣占, Gwangjeon) on the surface of a mountain in 1676 was contradictory to the provisions of the National Law, “Gyeong-Kuk-Dae-Jeon(經國大典)”.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new royal order (受敎, Sugyo) used to be enacted continuously and the accumulated royal orders were incorporated into the follow-up national law of “Gyeong-Kuk-Dae-Jeon(經國大典)”, so called, “Sok-Dae-Jeon(續大典)” when it was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Especially, most of royal orders (受敎, Sugyo) relating to tombs were very important enough to be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law. In addition, the ruling cases related to tombs were examined by reviewing a civil case judgment paper, of Chosun Dynasty, “Gyeol-Song-Ip-Ahn (決訟立案)”.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wsuits related to tombs that can be understood with the civil case judgment paper, “Gyeol-Song-Ip-Ahn (決訟立案)” are as follows. First, when a lawsuit related to a tomb was filed during Chosun Dynasty, a relevant judge applied the provisions of the law, “Gyeong-Kuk-Dae-Jeon(經國大典)” sincerely enough. Second, in case that the arguments of people concerned in a lawsuit relating to a tomb are sharply conflicted, a relevant judge measured the shapes of the mountain and the relevant tomb by visiting in person. Especially, the fact that it was not seen at a seat or while standing(坐立俱不見, ‘Ja-Rib-Gu-Bul-Hyu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dividing victory or defeat at the court. Third, during the lawsuit relating to a tomb during Chosun Dynasty, a judge put a big emphasis on the Principle(情理) that is a law principal as well as the rules of law. After all, a judge at a lawsuit relating to a tomb during Chosun Dynasty judged by considering both of the ‘Principle(情理)’ and a ‘Rule(法)’ while examining comprehensive situations.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조선시대 분묘소송에 관한 법조문
1. ≪經國大典≫에서의 墳墓 限界 규정
2. 1676년 ≪受敎≫와 분묘의 廣占 인정
3. ≪受敎≫ 등에 의한 분묘소송 해결기준 정립
4. 勒葬과 偸葬의 금지
5. 소결 : 분묘소송 관련 규정의 집성과 ≪續大典≫ 편찬
Ⅲ. 조선시대 민사판결서(決訟立案)에서 분묘소송
1. 1709년 「康熙四十八年 六月 日 衿川縣 立案」
2. 1821년 「道光元年辛巳十一月 日 廣州府立案」
3. 소결
Ⅳ. 마치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경찬(Son Kyoung Chan). (2018).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소송. 법학논문집, 42 (1), 5-42

MLA

손경찬(Son Kyoung Chan).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소송." 법학논문집, 42.1(2018): 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