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恥齋 李範世의 「題朴秋堂畵竹十七絶」 硏究

이용수 79

영문명
A Study of the Chi-Je, Bum-se Lee’s 17 poems devoted to Chu-dang Park’s painting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은영(Lee, Eun-you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4輯,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때 반일 성향을 지니고 그에 걸맞은 삶을 산 恥齋 李範世(1874~1940)가 당시 수차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입선한 秋堂 朴 好秉(1878~1942)의 墨竹圖에 題한 시 「題朴秋堂畵竹十七絶」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제박추당화죽십칠절」은 7언절구 17수로 이루어져 있다. 치재의 제화시 각각의 1,2구에는 추당의 묵죽도를 보지 않고도 각각의 대나무를 그려낼 수 있을 정도로 대나무의 특징이 섬세하고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에 더해 치재는 일반적인 한시처럼 1구 또는 2구에 시의 소제목이 함의되는 것을 원칙으로 시를 지었다. 치재는 3,4구에서는 자신의 감정은 최대한 절제하면서 대나무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대나무의 성품만큼이나 곧고 청량한 느낌을 그려냈다. 그래서 추당은 자신의 묵죽도에 치재의 제화시가운데 대나무의 형상을 묘사한 1,2구를 화제로 사용했다. 한마디로 치재의 제화시로 인해 추당의 묵죽도의 이해도가 높아지고 품격이 높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므로 추당의 묵죽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치재의 제화시 가운데 묵죽도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까지 모두를 아울러 살펴봐야 묵죽도에 담긴 眞意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마디로 치재의 제화시는 추당의 묵죽도를 이해하고 묵죽도의 품격을 높이는 데 있어 필수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를 더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bout Chi-Je, Bum-se Lee(1874~1940), and his 17 poems devoted to Muk-juk-do which is painted by Chu-dang, Ho-byung Park (1878~1942) who was awarded few times at a Cho-sun Art Exhibition. The 17 poems are made up of 7 phrases. Every piece of the bamboos is described at the 1st and 2nd poems. Plus, Chi-Je put the subtitles of the poems at the 1st or 2nd poems like commonal chinese poems. Chi-Je gives the refreshing and straightened feelings of bamboos in the 3rd and 4th poems of the poem, but also trying to abstain his emotions. It makes Chu-dang to write the 1st and 2nd poems at his Muk-juk-do. We can say the Chi-Je’s Je-wha poems help us understand Chu-dang’s Muk-juk-do and give its own dignity to the painting. Therefore, to understand the real meaning of Chu-dang’s Muk-juk-do, it is recommended to study the all of Je-wha poems of Chi-Je, not only the written poems at ths painting. Chi-Je’s 17 Je-wha poems have its own meaning for understanding the Muk-juk-do of Chu-dang and giving the dignity of the painting.

목차

1. 머리말
2. 恥齋의 생애
3. 작품 분석
1) 추당 박호병 소개
2) 제화시와 묵죽도 화제
3) 제화시 분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영(Lee, Eun-young). (2018).恥齋 李範世의 「題朴秋堂畵竹十七絶」 硏究. 대동한문학, 54 , 1-30

MLA

이은영(Lee, Eun-young). "恥齋 李範世의 「題朴秋堂畵竹十七絶」 硏究." 대동한문학, 54.(2018):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