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이용수 141

영문명
Discussions about Confucian Classics and an Anthology of Annotations for Chinese Classics in Scholastic Lineage of Toegye and Yulgok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영호(Lee, Young-ho)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4輯,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양한 양상을 지닌 중국경학은 대부분 조선으로 전래되었다. 그 결과 조선의 경학은 주자학, 실학, 양명학(강화학), 금문학 등의 색채를 가지게 되었다. 이 가운데 조선의 주자학적 경학은 당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다. 조선전기에도 주자학적 경전주석서가 등장하였지만, 후대의 영향력의 측면 에서 보자면 조선경학의 개산조는 퇴계 이황이라고 할 것이다. 퇴계의 경학은 퇴계학파 뿐 아니라, 율곡학파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퇴계의 경설은 그의 제자들 뿐 아니라, 율곡학통의 대유인 송시열과 박세 채에 의하여 비판적으로 수용되었고, 이후 18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이어진 조선주자학파 경설의 회집에서도 단연 중심축이었다. 퇴계 이후, 조선주자학파 경학의 선집은 18세기에는 권상하(율곡학파)와 유건휴(퇴계학파)에 의해, 20세기 초에는 서석화(퇴계학파)와 이해익(율곡학파)에 의해 이루어 졌다. 그 선집의 양상을 보면 대체로 퇴계를 중심에 두고 퇴계학파에서는 이상정이, 율곡학파에서는 김창협이 자파를 대표하는 경학자로 부상하였 다. 이처럼 퇴계에서 발원된 조선의 주자학파 경학은 20세기 초까지 자파의 경설을 계승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이를 두고 곧 조선적 경학의 탄생과 성장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hinese Kyunghak which had various aspects was mostly transferred to Joseon. As a result, the Kyunghak of Joseon had colors of Jujahak, Silhak, Yangmyeonghak(Kanghwahak), and Keummunhak. Among these, Chu-tzu School’s Kyunghak had the greatest impact in the Joseon dynasty. Commentaries of Confucius Scripture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Chu-tzu School were appeared in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ir influences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oegye Yi Hwang could be called as the founder of the Joseon Kyunghak. Because Toegye’s Kyunghak had influenced not only on Toegye school but also on Yulgok school. Toegye’s commentaries were accepted not only by his disciples but also critically accepted by great scholars of Yulgok school, Song Si-yeol and Pak Se-chae. Afterwards, they had become decisively central axis among a collection of Chu-tzu school’s commentaries between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fter Toegye, selected collections of Kyunghak commentaries of Chu-tzu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were made by Kwon Sang-ha(Yulgok school) and Yu Keon-hyu(Toegye school)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by Seo Seok-hwa(Toegye school) and Yi Hae-ik(Yulgok school)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selection of commentaries show that while putting Toegye at the center, Yi Sang-jeong from Toegey school and Kim Chang-hyup from Yulgok school became representative scholars. Chu-tzu School’s Kyunghak originated from Toegye had succeeded and developed commentaries of both Toegye and Yulgok school. This shows that it can be evaluated as the birth and growth of Kyunghak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1. 서 론
2. 퇴계경학에 대한 율곡학통의 논변
3. 퇴율학통의 경설 회집과 그양상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호(Lee, Young-ho). (2018).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대동한문학, 54 , 1-26

MLA

이영호(Lee, Young-ho). "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대동한문학, 54.(2018):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