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천지역 종택마을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A quantification study using Feng Shui indicator in the location space of Jongtaek village in Yecheon are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재락(Park, Jae-Ra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7집, 335~36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경북 예천지역 종택마을의 입지공간에 대해 풍수지표를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종택마을은 당시 사대부인 입향조가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입지관이나 토지관이 적용되었던 곳이다. 그리고 입향조가 최초로 터 잡이를 하여 거주지를 정한 공간을 ‘종택(宗宅)’이며 ‘종택마을’은 입향조의 거주지였던 종택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후손들을 비롯한 구성원들이 지금까지 삶의 터전을 이루고 생활하고 있는 정주공간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예천의 종택마을 5곳(별좌공,석문, 남악, 초간, 영사당종택)이다. 그리고 입지공간에 적용된 풍수지표는 경험과학의 형식논리인 간룡`지세`혈장`수세`좌향`비보의 6개 항목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화는 100점에 산세는 10점, 지세는 40점(현무·청룡·백호·안산 각각 10점씩)이며, 혈장은 20점에 혈처는 15점이며 경제공간은 5점으로 하였다. 수세와 좌향 그리고 비보는 각각 10점씩을 하였다. 끝으로 풍수지표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흉격·하격·중격·상격의 정량화를 도출하였다. 연구된 결과 예천지역 종택마을의 입향조는 마을 입지를 선정할 때 지세와 혈장, 그리고 비보를 중요시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종택마을이 약 500여년의 세월동안 현존할 수 있었던 것은 종택이 혈처를 이룬 곳에 자리하면서 주변지세와 조화와 균형을 이룬 중격명당(52점~71점) 3곳과 중격명당과 상격명당의 경계치에 이르는 2곳이 보국을 갖춘 입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당시 사대부인 입향조의 입지관인 풍수지리가 종택의 터 잡이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정량화를 밝힌 것으로 경험과학적인 판단기준에서 보다 개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ocation of the village of Yecheon in Gyeongbuk area is analyzed by applying the Feng Shui indicator. Jongtaek village and forms the town even now iphyangjo caught the emitter area, says the settlement space and the existing jongtaek. Target areas of study were enrolled in the three villages Yecheon county jongtaek (Byeoljwagong, Seongmun, Namak, chogan, yeongsadang). For the study method, 6 items(ganlyong/jise/hyeoljang/suse/jwahyang/bibo) of Feng Shui Indices of location space were applied as the formative logic of experiential science. The numerical values were sanse(10), jise(40), hyeoljang(20), suse(10), jwahyang(10), bibo(1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eng Shui index, jisewa, hyeoljang and bibo when choosing the location of the village in Jongdeok area. In particular, the village of Jongtaek was able to exist for about 400~500 years, and it was analyzed as the location of the myeongdang-Score (52~71).This study derived the quantification that can be used to judge how FengShuzi, the locality of the first generation. Therefore, it can be quantified more experience than scientific objective criteria, we believe there to contribute.

목차

Ⅰ. 서론
Ⅱ. 종택마을의 개관
Ⅲ. 종택입지의 풍수지표
Ⅵ. 종택입지의 풍수지표 정량화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락(Park, Jae-Rak). (2017).예천지역 종택마을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민족문화논총, 67 , 335-367

MLA

박재락(Park, Jae-Rak). "예천지역 종택마을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민족문화논총, 67.(2017): 335-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