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구성과 성격

이용수 98

영문명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nim in Oksan Seowon, Gyeongju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병훈(Lee Byoung hoo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7집, 29~97쪽, 전체 6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11,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선발과 직무, 시기별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옥산서원은 원임의 선발과 직무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남아있지 않다. 원임의 선발기준이 엄격하게 준수되었던 16세기 후반에는 자격을 갖춘 인사들을 옥산서원 인근이라는 제한된 지역에서 선발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특정 인사들의 원임직 중임이 서원건립 초기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오면서 옥산서원의 위상이 제고되고, 타읍에서 이주해온 사족들이 증가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원임을 선발하였고, 그들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서원이 운영되었다. 한편으로는 후손들의 원임직 참여가 나타난 것도 이 시기였다. 18세기 들어오면서 문벌의식의 확대와 문중서원의 건립에 따라서 옥산서원 운영에 참여하였던 원유(院儒)들의 이탈이 증가하였다. 옥산서원은 원임의 선발 범위를 경주부 남쪽으로 확대하는 한편, 후손(驪州李氏)들의 원임직 참여를 적극 허용하였다. 후손들의 참여 확대는 원유들의 이탈도 원인이었지만 실제 원임에 임명될만한 자격을 갖춘 자들 중 후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18세기 이래로 19세기 중반까지 원장과 유사의 직임에 후손들의 참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는 옥산서원 운영에 참여하였던 후손들도 분화되어 서원운영에서 밀려난 계파(系派)는 파조(派祖)를 제향하는 문중서원을 건립하고 옥산서원에서 이탈하였다. 이처럼 서원 운영을 책임졌던 타 가문의 원유들뿐만 아니라 후손가의 이탈이 확대되면서 서원 운영은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서원 운영의 어려움과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영향력 있는 인사를 원임으로 선발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19세기 중반에는 타읍 출신의 명망있는 전직 관료를 원임으로 선발하다가, 19세기 중반이후 경주부윤과 관찰사를 원장으로 선발하였다. 후손들은 유사, 별유사 등을 역임하면서 서원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결국 옥산서원은 건립 이래로 여러 가문이 참여하여 경주를 대표하는 서원으로서 자리 잡았지만, 정치·사회적 변화와 재지사족의 분화 등으로 후손가와 일부 특정가문만의 참여로 유지되어 왔다. 그것은 경주부내 옥산서원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옥산서원의 문중서원화를 가속시켰다. 그러나 19세기 강당 중건과 치제를 계기로 다시금 도약하였던 옥산서원은 후손들의 원장직 참여를 억제하면서 경주부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전환되어 갔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selection, job, and changes by period of the Wonim in Oksan Seowon, Gyeongju. There is no detailed record in the regulations on the selection and job description of the Wonim(院任) in Oksan Seowon. Aroun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when strict regulations were applied to Wonim selection, it was not easy to select qualified persons in the restricted area of nearby Oksan Seowon. Therefore, the important duties of certain Wonim were clarified from the very beginning.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17th century, the reputation of Oksan Seowon improved, and because the number of people moving in from other regions increased, this enabled a relatively more stable selection of Wonim. As a result, the Seowon could operate in a more stable way. On one hand, this was the time when their descendants started to take Wonim positions.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an expanding awareness of lineage and the establishment of Moonjung(門中) Seowo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nim members leaving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Oksan Seowon. This extended the range of Wonim selection to the southern part of Gyeongju and their descendants were actively allowed to take Wonim positions. This was not only to prevent further people leaving but also to ensure that the most qualified persons were included as Wonim membe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this was the main reason for the abrupt rise in the number of descendants who held similar position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was that the descenda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Oksan Seowon were divided, and those who were excluded from the operation left the Oksan Seowon and established Moonjung Seowon, which respected the founders of the community. As the number of descendants, as well as members from other familie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Seowon, who were leaving continued to increase, it became more difficult to manage Seowon. To solve this issue, it was necessary to designate a more influential person as a Wonim in order to overcome such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to deal with social changes. As a result, starting in the mid-19th century, renowned ex-government officials from other areas began to be selected. Star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head officer in Gyeongju and the provincial governor were designated as the heads of the Wonim. Their descendants were responsible for field jobs and general affairs. As a result, Oksan Seowon became one of the most renowned Seowon representing Gyeongju, with the participation of many families since its establishment, but due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s well as the division of families, it was sustained by descendants and certain families. This finally brought about a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Oksan Seowon in Gyeongju and accelerated the change to Moonjung Seowon. However, based on the re-structuring of the auditorium and the ritual ceremony, Oksan Seowon made another step toward becoming a typical Seowon representing Gyeongju by restricting descendants from taking the head pos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원임의 선발과 직무
Ⅲ. 옥산서원 원임의 시기별 추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훈(Lee Byoung hoon). (2017).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구성과 성격. 민족문화논총, 67 , 29-97

MLA

이병훈(Lee Byoung hoon). "경주 옥산서원 원임의 구성과 성격." 민족문화논총, 67.(2017): 29-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