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금도 통제영과 이순신의 전사 후 행적

이용수 290

영문명
Naval Base of Gogeumdo and Whereabouts of Admiral Yi Sun Sin after His Passing Away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정진술(Jeong Jin Sool)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20호, 221~267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왜란 동안에 이순신이 통제사로서 수군진을 선정한 원칙은, 반드시 섬이어야 하고, 또 함선을 수용할 수 있되 적이 쉽게 관찰할 수 없는 포구여야 하며, 그리고 일본 수군의 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요충지여야 했다. 고금도 덕동리 포구는 이러한 조건을 갖춘 곳으로서 이순신은 여기에 통제영을 설치하였다. 1598년 2월에 통제사 이순신은 조선 수군을 거느리고 고금도로 이진하였다. 그가 고하도에서 고금도로 이진한 이유는 첫째는 고하도 수군진이 증강된 함대 세력을 수용하기에는 매우 협소하였고, 둘째는 호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일본 수군에게 압박을 가하기 위하여 함대를 전진 배치할 필요가 있었으며, 셋째는 명나라 수군의 내원에 대비하여 대함대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포구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고금도로 이진한 후 조선 수군은 이 지역에서 일본 수군을 구축하였다. 진린 도독이 거느리는 명나라 수군이 1598년 7월에 고금도에 도착하여 조선 수군과 연합함대를 형성하였다. 조ㆍ명연합함대의 정박지는고금도 동쪽의 포구로서, 진린 함대는 주로 묘당도 포구에 이순신 함대는 덕동리 포구에 정박하였다. 고금도 통제영에서 이순신이 당면한 문제는 전선의 건조, 병력의 확충, 군량의 확보라는 세 가지 과제였다. 이순신은 고하도는 물론이거니와 고금도에서도 전선의 건조에 힘을 기울여 노량해전 직전까지 60여 척의 전선을 확보하였다. 수군 병력의 확충은 이들 전선의 확보보다 더 어려운 문제였다. 다행히 이순신은 자신을 믿고 고금도 주변에 모여든 연해민들을 수군으로 모집할 수 있었다. 수군들을 유지하기 위한 군량은 해로통행첩을 발행하여 세금을 거두고, 고금도와 그 주변 섬들에 농토를 개간하며, 소금을 굽고 물고기를 잡아 양곡과 교환하는 방법 등으로 확보하였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한 후 이시언이 새로운 통제사로 임명되었고, 그는 1599년까지도 고금도에 주둔하였다. 통제사 이시언은 1600년 초에 고금도에서 전라좌수영 앞의 경도로 이진하였고, 1601년 3월에는 거제도 오아포(동부면 가배리)의 경상우수영으로 진을 옮겼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전라좌수사가 겸하던 통제사는 경상우수사가 겸하게 되었다. 오아포 통제영은 1604년 봄에 고성의 두룡포(통영)로 옮겨졌고, 이후 통제영이 폐지될 때까지 그곳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1607년부터는 통제사를 본직으로 하여 수사가 겸직하게 됨으로써 통제사가 비로소 겸임직으로부터 단독직으로 전환되었다. 노량해전이 끝나고 조ㆍ명연합함대는 노량 포구에 정박하여 전투 후유증을 수습하였다. 이순신의 유해는 1598년 11월 20일경에 노량을 출발하여 남해안 연안해로를 경유하여 며칠 후에 고금도에 도착하였으며, 묘당도의 월송대에 안치되었다. 약 10여일 동안에 걸친 이동 준비를 마치고 이순신의 영구는 12월 초에 묘당도를 출발하여 아산으로 향하였다.

영문 초록

During Imjinwaeran(壬辰倭亂,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upon Korea from 1592 to 1598), there were three principles in that Admiral Yi Sun-sin, as Samdo-sugun-tongjesa(三道水軍統 制使, Commander-in-Chief of all the naval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of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selected a base of the naval forces. First, it had to be an island. Second, it had to be a port where the enemy could not observe our fleet easily. Third, it had to be a place that the entry of the Japanese naval forces could be blocked off. As Gogeumdo in Jeolla-do was the island that the three terms were equipped with, Admiral Yi installed the naval base of Joseon(old Korea) there. Admiral Yi moved the naval base from Gohado(island) to Gogeumdo in Feb. 1598. The reasons that he moved the naval base were three also. First, Gohado was too narrow to accommodate his reinforced fleet. Second, it was necessary for the fleet to be deployed forward in order to put pressure on the Japanese navy forces acting in Jeolla-do area. Third, as the navy forces of the Ming of China entered the war, a new port to accept its great fleet was needed. After Admiral Yi Sun-sin moved the naval base to Gogeumdo, he evacuated the Japanese enemy from the southern coast of Jeolla-do in a seesaw war. The Ming naval forces led by Admiral Chen Lin(陳璘) came to Gogeumdo in July, 1598 and formed a combined fleet with the Joseon naval forces to destroy the Japanese Navy. The combined fleet of the Joseon and Ming were anchored at a port located in the eastern coast of Gogeumdo. The present questions that Admiral Yi faced in running the naval base in Gogeumdo faced were three assignments like construction of warships, expansion of forces, and securement of military supplies. He wired in building in warships in Gogeumdo as well as Gohado. As a result, he secured about 60 Panokseons(板屋船) to the brink of Noryang sea battle. But, the more difficult problem was to secure naval forces. Luckily, Admiral Yi could recruit coastal people who gathered around Gogeumdo. He made three efforts to secure provisions of the naval forces. First, as seaway pass documents were issued, tolls in rice were collected. Second, farmlands were reclaimed at the surrounding lands, and rice was planted. Third, salt was produced and fishes were caught, and then they were exchanged with rice. In Noryang sea battle in 1598, Admiral Yi passed away. However, the naval base of Gogeumdo was maintained until 1599. A new Samdo-sugun-tongjesa moved the naval base into Gyeongsang-do Right Naval Station located in Oapo in Geojedo(island) in early 1601. Accordingly, the Samdo-sugun-tongjesa that a commander of the Jeolla-do Left Naval Station hold additional post of came to be transferred to a commander of the Gyeongsang-do Right Naval Station. The naval base of Oapo was moved into Duryongpo in early 1604. Until the Samdo-sugun-tongjesa system was abolish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naval base was located in there. Noryang sea battle was finished on Nov. 19, 1598. Right after the sea battle, the combined fleet of the Joseon and Ming anchored at Noryang port and settled the aftermath of war. The body of Admiral Yi was started from Noryang port around Nov. 20 and arrived at Gogeumdo after a few days, via a coastal seaway of the South Sea. His body was prepared for moving to his hometown for about ten days. And it was started from Gogeumdo early in Dec. and buried in his family burial ground in Asan, Chungcheongnam-do.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금도의 해양지리적 환경
Ⅲ. 고금도 통제영의 설치와 운영
Ⅳ. 이순신의 전사 후 행적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술(Jeong Jin Sool). (2013).고금도 통제영과 이순신의 전사 후 행적. 이순신연구논총, (20), 221-267

MLA

정진술(Jeong Jin Sool). "고금도 통제영과 이순신의 전사 후 행적." 이순신연구논총, .20(2013): 221-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