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사집(白沙集)』에 나타난 이순신ㆍ원균관

이용수 162

영문명
Outlooks of Yi Sun-Sin and Won Gyun, appearing in Baek-Sa-Jip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임원빈(Lim, Won-Bin)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16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이항복(1556〜1618)의 문집인 『백사집(白沙集)』에 나타난 이순신ㆍ원균관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백사 이항복은 임진왜란 발발 당시 도승지였다. 그리고 병조판서를 5번이나 지낸 임진왜란 극복의 주역이었다. 그런 면에서 임진왜란에 대해 가장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던 사람이다. 이순신이 동인(東人)이라면 이항복은 서인(西人)에 속하는 인물이다. 그런 면에서 붕당(朋黨) 차원의 선입견도 배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 이항복이다. 이항복은 이순신에 대해서 수군 가운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장수라고 평가한다. 그리고 그의 주요 공적으로는 임진년(1592년)부터 정유년(1597년) 초반까지는 호남의 울타리라고 할수 있는 한산도에서 바닷길을 가로막음으로써 곡창인 호남을 보전하고 수도인 한성과 경기 도를 편안하게 하였으며, 정유년 7월 칠천량에서 수군이 패하고 원균이 전사한 뒤 다시 통제사가 되어서는 명량해전을 승리로 이끌어 일본군에게 끝까지 해로(海路)를 내어주지 않은 훌륭한 장수로 평가하고 있다. 이항복은 이순신의 공적뿐만이 아니라 그의 훌륭한 인품에도 주목한다. 포악하기로 유명한 명나라 수군 장수 진린 도독이 이순신을 부를 때 항상 ‘이야(李爺)’라고 존칭을 사용하였 다는 사례, 이순신이 전사하자 명나라 병사들도 고기를 먹지 않았다는 사례, 짐을 나르는 노인과 어린이들조차 이순신의 전사 소식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선비들이 제문을 지어와 바쳤다는 사례, 먼저 돌아가신 두 형님들의 자식들 이른바 조카들을 자기 자식보다 항상 먼저 보살폈다는 사례, 자녀들에게 자신과 갈등 관계에 있는 원균에 대해서 말할 때 언제나 공적을 말하고 단점을 말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는 사례 등을 통해 나라를 위해 싸운 공적뿐 만이 아니라 내면의 덕성도 훌륭하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순신의 좌우명을 소개하는데 다음과 같다. “장부(丈夫)가 세상에 태어나서, 나라에 쓰이게 되면 몸을 바쳐 보답할 것이요, 쓰이지 못할 경우에는 초야에서 농사짓는 것으로 만족할 것이다. 권세 있는 곳에 아첨하여 한 때의 영화(榮華)를 훔치는 것 같은 것은 내가 매우 부끄럽게 여기는 것이다.” 이순신은 평소 유학의 가르침대로 살았다. 유학의 가르침은 한 마디로 의리지향적(義理志 向的) 삶을 살라는 것이다. 위에서 이항복이 소개하고 있는 이순신의 좌우명은 이순신의 사람됨과 그의 평생의 삶의 특성을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런 반면에 원균에 대한 이항복의 언급은 매우 소략하다. 이항복은 원균 때문에 조선 수군이 칠천량 해전에서 패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한 마디로 원균은 무능한 장수였다는 것이다. 이항복의 원균에 대한 평가는 그가 비록 전공이 있더라도 그것은 독립적으로 쟁취해 낸 것이 아니라 이순신에 의존해서 만들어진 전공이라고 단언한다. 그런 면에서 원균의 전공은 이순신과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인식 때문에 이항복은 공신도감(功臣都鑑) 에 참여했을 때도 원균을 2등에 놓아 1등인 이순신과 같은 반열에 놓지 않았다. 비록 임금인 선조가 원균이 1등에 선정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2등에서 1등으로 바꾸긴 했지만 그것은 이항복의 뜻이 아니었다. 이렇게 볼 때 이순신, 원균과 동시대를 살았던 이항복의 문집인 『백사집』에 나타난 이순신ㆍ원균관은 이순신과 원균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자료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outlooks of Yi Sun-Sin and Won Gyun, appearing in Yi Hang-Bok (1556-1618) s anthology, Baek-Sa-Jip. Yi Hang-Bok (also known as his penname, Baek-Sa) was a Do-Seung-Ji (chief secretary to the ki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was designated as the Minister of War five tim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For that reason, he was the one who knew the most details of the invasion. While Yi Sun-Sin was Dong-in (person of the Eastern faction, Yi Hang-Bok was Seo-in (person of the Western faction.) Thus, Yi Hang-Bok was in a position where he could exclude the faction-level prejudice. Yi Hang-Bok evaluates Yi Sun-Sin as an admiral who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s in the naval forces. Yi Hang-Bok also highly appraises Yi Sun-Sin s accomplishments. His achievements consist of defending the waterway of Han-San Island, which was the main fence of Honam region, in order to protect the grain belt Honam area, the capital Hanseong, and Kyeonggi-do, from Imjin year (1592) to the beginning of Jeongyu year (1597). His achievements also include defeating the Japanese in the naval battle of Myung-Ryang, in July of Jeongyu year, by becoming the controller upon Won Gyun s death on the battlefield, thus not allowing a single Japanese soldier enter the waterway. Yi Hang-Bok not only appreciates Yi Sun-Sin s accomplishments but also emphasizes his great disposition. Yi Hang-Bok mentioned several instances: an admiral of Ming dynasty of China, Minister Jin-Rin, notorious for his atrocity, even addressed Yi Sun-Sin by the honorific form, Sir Yi. Soldiers of Ming dynasty even did not consume meat after Yi Sun-Sin s death; elders and children who were working wept and classical scholars offered funeral orations upon hearing the death of Yi Sun-Sin; when Yi Sun-Sin lost his two elder brothers, he cared their sons even more than his; Yi Sun-Sin taught his children to talk about his rival Won Gyun s accomplishment not defect. Here is an introduction of Yi Sun-Sin s personal saying: A man, born in this world, will gladly sacrifice himself to the nation, and if he cannot, will satisfy himself by farming in the field. Such thing as stealing an transient luxury by playing up to the powerful is the one I find the most shameful. Yi Sun-Sin lived up to the Confucian teachings. Confucianism teaches one to live a faithful, loyal life. The aforementioned personal saying introduced by Yi Hang-Bok comprehensively depicts Yi-Sun-Sin s personality and his entire lif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references to Won Gyun; it is hard to find Yi Hang-Bok s appreciation of Won Gyun s personality. Yi Hang-Bok insisted that Won Gyun is responsible for the defeat of the Chosun naval forces to get defeated in the naval battle of Chil-Chun-Ryang. In short, he claims that Won Gyun was an incompetent commander. Yi Hang-Bok s evaluation on Won Gyun is that even though he has past accomplishments, those were not done by himself but through depending on Yi Sun-Sin, so it is wrong to compare Won Gyun s achievements to those of Yi Sun-Sin s. Due to this perception, when Yi Hang-Bok participated in Gong-Sin-Do-Gahm (a government office that conducted due diligences on awarding meritorious figures), he nominated Won Gyun on the second place whereas he did Yi Sun-Sin in the first place; he meant to differentiate them. King Seon-Jo (The 14th King of Chosun dynasty, 1567-1608) strongly maintained that Won Gyun should be nominated on the first place, Yi Hang-Bok was obliged to do so; still, it was not his intention to nominate Won Gyun on the first place. From this, Baek-Sa-Jip is a very important source to objectively understand Yi Sun-Sin and Won Gyun.

목차

Ⅰ. 서론
Ⅱ. 이항복과 『백사집』에 나타난 이순신ㆍ원균 관련 자료
Ⅲ. 이순신ㆍ원균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원빈(Lim, Won-Bin). (2011).『백사집(白沙集)』에 나타난 이순신ㆍ원균관. 이순신연구논총, (16), 1-23

MLA

임원빈(Lim, Won-Bin). "『백사집(白沙集)』에 나타난 이순신ㆍ원균관." 이순신연구논총, .16(2011):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