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산품 구매 증가를 위한 브랜드 전략: 개별 브랜드와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49

영문명
A Study on Brand Strategy of Agricultural Product: Focusing on the Effects of Producer Type and Production-process Imagery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박기경(Park, Kikyoung)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5권 제5호, 129~134쪽, 전체 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농산품 마케팅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실제 브랜드의 성공요인을 다루거나 사례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본 연구는 농산품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농산품 생산자 유형(개별 브랜드 vs. 공동 브랜드)과 수식 브랜드 유형(생산과정에 대한 상상 유발 여부)을 고려하였다. 구체 적인 가설로써 설명하면, 첫 번째는 공동 브랜드의 농산품이 개별 브랜드의 농산품보다 더 높은 구매 선택을 낳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두 번째는 개별 브랜드의 농산 품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이 잘 유발되는 수식 브랜드 명이 존재할 때 더 높은 브랜드 선택을 낳는 반면, 공동 브랜드의 농산품을 선택하는 상황 에서는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 유발 여부 간 선택가능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방법은 실제 브랜드 명을 차용한 시나리오 기반의 실험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실험 1의 결과에 의하면 농산물 가공품의 생산자가 공동 브랜드 형태일 때 개별 브랜드 형태보다 선택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2의 결과에 의하면 농산물 가공품이 개별 브랜드일 경우에는 수식 브랜드가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을 유도하는 조건이 그렇지 않은 조건에 비하여 선택가능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농산물 가공품이 공동 브랜드일 경우에는 수식 브랜드 형태에 따른 선택가능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 관점에서는 농산품 판매증가를 위한 브랜드 전략을 실험법을 통해 밝혔으며 그 과정에서 심적 형상화와 관련한 이론을 적용하였다는 시사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실무적 관점에서는 개인 사업자들 에게 영농조합이나 영어조합이 갖는 신뢰성을 보완할 수 있는 브랜드 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gricultural products relevan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case analyses. Taking it a further step, this research explored the main effect of producer type (personal vs. cooper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roducer type and production-process imagery on product choice. The author suggests two hypotheses. Hypothesis 1 suggests that consumers choose more co-branding producer’s agricultural products compared to personal-branding agricultural products. Hypothesis 2 suggests that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personal brand, consumers will prefer brands with tags that activate production process imagery compared to not activating it, whereas whe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cooperation brand, consumers will show no preference between imagery types. All experiment designs were on the basis of a scenario. According to Experiment 1 results, participants selected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cooperation producer brand compared to those with a personal producer brand. According to Experiment 2 results, when participants purchase personal brand products, they showed higher choice probability in the condition which activates production process imagery compared to not activating it. In contrast, when participants purchase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cooperation brand, they did show no different choice probability between conditions. The current study presented the brand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목차

I. 서 론
II. 문헌 고찰
III. 가설 수립
IV. 연구방법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경(Park, Kikyoung). (2017).농산품 구매 증가를 위한 브랜드 전략: 개별 브랜드와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효과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5 (5), 129-134

MLA

박기경(Park, Kikyoung). "농산품 구매 증가를 위한 브랜드 전략: 개별 브랜드와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효과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5.5(2017): 129-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