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이용수 379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Observer Media Addi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준오(Jo, Jun-oh) 황해익(Hwang, Hae-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1호, 499~53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미디어 중독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 및 선행 검사도구를 바탕으로 미디어중독의 하위요인을 집착 14문항, 내성 16문항, 금단 17문항, 통제불능 10문항, 장애 19문항, 총 76문항을 검사문항 개발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중독 전문가와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검사도구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둘째, 예비검사의 문항양호도 분석에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 를 살펴보았다. 셋째, 본검사의 검사양호도 분석에서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본검사에서 유아 483명을 대상으로 검사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넷째, 총점과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준거관련타 당도를 확인하였고, 기존의 표준화검사간의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최종 연구 결과에서 일상생활장애 12문항, 내성 7문항, 금단 6문항, 집착 4문항, 총 29문항으로 완성되었다. 다섯째, 미디어중독 원점수를 표준점수(T점수)로 변환하여 중독위험군 분류 기준을 고위험군, 잠재적 위원군,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유아 484명을 대상으로 판별한 결과 고위험군은 12명(2.5%), 잠재적 위험군은 31명(6.4%), 정상군은 440명(91.1%)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scale that measures the media addiction for young children.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cedure and research result for this. First, based on a documentary consideration and a prior test tool, the sub-factors of media addiction were developed totally 76 questions such as obsession with 14 items, tolerance with 16 items, withdrawal with 17 items, out of control with 10 items, and difficulty with 19 item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developing test items. Based on this, it considered the appropriateness for test tool targeting media-addiction exper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Second,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of preliminary test, the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the item discrimination were examined. Third, in the test appropriateness analysis of this test,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To verify the test appropriateness targeting 483 young children in this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identified. Fourth, to look at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 and sub-spher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The concurrent validity among the existing standardized tests was identified. In the final research results, it was completed with totally 29 questions such as difficulty of daily living with 12 items, tolerance with 7 items, withdrawal with 6 items, and obsession with 4 items. Fifth, it changed the raw score of media addiction into the standard score(T score) and then established the standard of classifying an addiction-risk group into high-risk group, potential-risk group, and normal group. As a result of differentiation targeting 484 young children based on this standard score, it was indicated to be high-risk group with 12 people(2.5%), potential-risk group with 31 people(6.4%), and normal group with 440 people(91.1%).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Ⅳ.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의 타당화
Ⅴ. 유아 미디어중독 관찰자 척도 중독 위험군 판별 기준
Ⅵ.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준오(Jo, Jun-oh),황해익(Hwang, Hae-ik). (2014).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11), 499-530

MLA

조준오(Jo, Jun-oh),황해익(Hwang, Hae-ik).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2014): 499-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