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수업이 초등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2

영문명
The effect of the gym classes adapted movement analysis model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석희(Nam, Suk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4호, 479~49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과 일반 기능 중심의 체조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계체조 지도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 교육대학교 2개 학과 학생(4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5주간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을 실시하였다. 첫째,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일반 기능 중심의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 감을 비교한 결과,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실험 전 보다 높아졌으며 특히, 하위요인인 자기표현 자신감이 많이 향상되었다. 둘째,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에 참여한 여학생들은 신체적 자 기효능감을 높이 지각하였다. 특히, 자기표현 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일반 기능 중심의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자기표현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일반 기능 중심의 체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여학생들의 자기표현 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students participated in movement analysis model adapted gym class and general skill centered gym class respectively. To achieve this purpose, two department students of 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And movement analysis model adapted gym class and general skill centered gym class were conducted for 15 weeks. To find out variation of self efficacy, pretest was carried out before starting this research and post test was done right after finishing the gym classes. T-tes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change of physical selt-efficacy of within and between group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got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students. Especially, self-expression confidence heightened more than perceived physical ability. Second, the girl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wo groups in self-expression confidence. Third, the students who involved in movement analysis model adapted gym class was above the other group. Particularly, self-expression was high. Fourth, the students who involved in movement analysis model adapted gym class showed high self-efficacy. The girls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movement analysis model adapted gym class can be a useful means to heighten student s physical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석희(Nam, SukHee). (2014).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수업이 초등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4), 479-496

MLA

남석희(Nam, SukHee). "움직임 분석 모형 적용 체조수업이 초등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2014): 479-4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