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s a Function of Syntactic Structure and Canonicity in 5- and 6-Year-Old Children

이용수 30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신영(Shin Young Kim) 성지은(Jee Eun Sung) 임동선(Dong 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4, 643~65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문장이해 과정에서 의미적 단서의 영향을 최소화했을 때 형태론 및 통사론적 단서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문장이해능력을 예측하는 작업기억 과제의 유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5-6세 일반 아동 18명을 대상으로, 3개의 통사 구조(능동문-2항, 능동문-3항, 피동문)와 2개의 어순 규범성(규범 어순, 비규범 어순) 조건으로 구성된 문장이해검사를 실시하여 각 하위유형에 따른 문장이해능력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5가지 작업기억 과제(비단어 따라말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 경쟁 언어 처리 과제, 문장 따라말하기, 매트릭스)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장이해능력에 대한 작업기억의 설명력을 검토하였다. 결과: 문장이해검사 수행력에 대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결과, 통사구조 및 어순 규범성의 주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사후검정 결과 피동문의 정반응률이 능동문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비규범 어순의 정반응률이 규범 어순의 정반응률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작업기억 과제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작업기억 과제가 3개의 요인(구어 작업기억, 매트릭스, 문장 따라 말하기)으로 분류되었으며, 문장이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과제는 ‘구어 작업기억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통사구조 및 어순 규범성이 5-6세 일반 아동의 문장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통사적 복잡성이 높은 문장에 대한 수행력을 작업기억 용량이 유의하게 예측해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phologic and syntactic cues on the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and to explore which working memory tasks significantly predict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Methods: Eighteen preschool children (5- and 6-year-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a sentence comprehension task (SCT) along with five other working memory tasks. The SCT consisted of sentences with three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active with 2-palce verbs, active with 3-place verbs, and passive) and two types of word order (canonical or non-canonical) which were manipulated within each syntactic structu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wo-way repeated ANOVA,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epwis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sentence type, and the post-hoc comparison displayed lower accuracy in passive than active sentences. Canonicity effect was also significant, with better performance on canonical than non-canonical word order. The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as well, showing greater canonicity effects in active than passive sentenc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working memory task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verbal working memory tasks, matrix, and sentence repetition. The strongest predictor for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was the verbal working memory task. Conclusion: Syntactic structure and canonicity of word order elicite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of 5- and 6-year-old children, and verbal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trongly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sentences with complex structures.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신영(Shin Young Kim),성지은(Jee Eun Sung),임동선(Dong sun Yim). (2017).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s a Function of Syntactic Structure and Canonicity in 5- and 6-Year-Old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 643-656

MLA

김신영(Shin Young Kim),성지은(Jee Eun Sung),임동선(Dong sun Yim).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s a Function of Syntactic Structure and Canonicity in 5- and 6-Year-Old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2017): 643-6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