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ory Retelling Analyses as a Function of Visual Cues using Information Units for Persons with Aphasia

이용수 26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예나(Ye Na Kim)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4, 756~771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단서 유무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다시말하기 수행을 정보단위(information unit, IU)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IU 분석의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언어측정 변수 및 중증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실어증 환자와 정상성인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시각 단서가 제시되는 시각-청각 조건과 제시되지 않는 청각조건에서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IU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IU 빈도, IU 비율(%), 분당 IU 빈도, 분당 IU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IU 측정 변수에서 실어증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시각 단서에 따른 주효과가 IU 빈도 및 비율(%)에서는 유의하였으나 분당 IU 빈도 및 비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시각 단서에 따른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이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IU와 언어측정 변수, 중증도(AQ) 그리고 실어증검사의 하위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IU 측정 변수와 CIU와 같은 의미론적 측면의 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중증도(AQ), 유창성, 따라말하기, 이름대기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시각 단서가 제시될 때 실어증 환자의 발화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U 분석체계는 기존의 언어측정 변수와 실어증 중증도 그리고 실어증검사의 하위항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IU 분석은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분석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formance on story retelling procedures in persons with aphasia (PWA)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visual cues using information units (IU). In addition, IU metrics were correlated with linguistic measures and aphasia severity. Methods: Fifteen PWA and 15 age- and education-matched normal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familiar story was presented either under auditory only (AO) or auditory visual (AV) conditions in story retelling procedures. Dependent variables from IU checklists included number of IU (#IU), percent of IU (%IU), number of IU per minute (#IU/min), and percent of IU per minute (%IU/min). Results: PWA demonstrated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than the normal group across all IU-related measures. The main effect for the condition was significant in #IU and %IU with better performance on the AV than AO, whereas the main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IU/min and %IU/min. The twoway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in any of the IU measur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U metrics and linguistic outcomes (number of utterances, number of words per minute, words, #CIU, #CIU/min, %CIU, and %CIU/min). IU-related measures were also correlated with aphasia severity. Conclusion: Visual cues were beneficial for eliciting more linguistic units from persons with aphasia.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IU metrics to Korean speakers with aphasia, confirming the clinical utility of IU metrics as an efficient method for analyzing the connected speech samples produced by persons with aphasia.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나(Ye Na Kim),성지은(Jee Eun Sung). (2017).Story Retelling Analyses as a Function of Visual Cues using Information Units for Persons with Aphas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 756-771

MLA

김예나(Ye Na Kim),성지은(Jee Eun Sung). "Story Retelling Analyses as a Function of Visual Cues using Information Units for Persons with Aphas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2017): 756-7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